“파탄 땐 다시 개성에 軍부대”…北, 결렬 선언 뒤 일방적 회견
개성공단 사태 해결을 위해 6차례 진행된 남북 당국 간 실무회담이 사실상 결렬됐다. 양측은 25일 개성공단에서 6차 실무회담을 열어 합의문 채택을 시도했지만, 공전을 거듭하다 후속 실무회담 날짜도 잡지 못한 채 헤어졌다. 우리 측은 판문점 연락관 채널을 통해 다시 회담 날짜를 잡자고 했지만, 북측은 회담의 사실상 결렬을 선언했다. 개성공단의 앞날도 한 치 예측할 수 없는 안갯속으로 빠져들었다.
개성 사진공동취재단
北대표단, 기자실 난입 돌발행동
개성공단 6차 실무회담을 마친 25일 북측 박철수(왼쪽) 수석대표가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 남측 기자실에서 돌발 기자회견을 하자, 남측 대표단이 이를 제지하려다 북측 관계자들과 승강이를 벌이고 있다.
개성 사진공동취재단
개성 사진공동취재단
북측 박철수 수석대표는 종결회의 직후 기자회견을 자청, “회담이 결렬 위기다. 개성공업지구가 파탄되면 공업지구 군사분계선 지역을 우리 군대가 다시 차지하게 될 것이며 서해 육로도 영영 막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개성공업지구의 정상화를 바라지만 결코 강요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개성공업지구는 남측이 아니더라도 우리가 얼마든지 운영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결코 빈말을 하지 않으며 이것은 그 어떤 위협도 아니라는 것을 남측은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압박했다.
박 대표는 남북 연락관 협의 없이 기자실에 난입해 일방적으로 기자회견을 가진 데 이어 자신들이 제시했던 합의문까지 배포했다. 이 과정에서 이를 막으려는 남측 회담 관계자들과 강행하려는 북측 관계자들 간에 몸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
북한의 회담 결렬 선언과 일방적 기자회견에 대해 우리 정부는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 명의의 긴급성명을 발표하고 강한 유감을 표시했다. 김 대변인은 “오늘 개성공단 실무회담 결과로 인해 개성공단의 존폐가 심각한 기로에 선 것으로 판단한다”면서 “북한이 재발방지 대책에 대해 진정성 있는 태도를 보이지 않는다면, 정부로서는 중대한 결심을 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악의 경우 개성공단 폐쇄 가능성까지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
개성공동취재단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3-07-26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