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월드컵 金 절반 싹쓸이… 쇼트트랙 ‘희망가’

한국 월드컵 金 절반 싹쓸이… 쇼트트랙 ‘희망가’

한재희 기자
입력 2017-11-19 22:54
수정 2017-11-20 01: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ISU 1~4차 월드컵 金 15개

4차 대회서 최민정 2관왕
男계주 우승… 金 3개 획득
평창 전종목 출전권 3장씩 확보
한국의 마지막 주자 임효준이 19일 서울 목동 아이스링크에서 열린 쇼트트랙 월드컵 4차 대회 남자 5000m 계주 우승을 확정지은 뒤 감격해 두 팔을 들어 올리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의 마지막 주자 임효준이 19일 서울 목동 아이스링크에서 열린 쇼트트랙 월드컵 4차 대회 남자 5000m 계주 우승을 확정지은 뒤 감격해 두 팔을 들어 올리고 있다.
연합뉴스
19일 서울 목동 아이스링크에서 열린 쇼트트랙 월드컵 4차 대회 여자 1000m에서 우승하며 대회 2관왕에 오른 최민정이 준결승에서 힘차게 출발하는 모습. 뉴스 1
19일 서울 목동 아이스링크에서 열린 쇼트트랙 월드컵 4차 대회 여자 1000m에서 우승하며 대회 2관왕에 오른 최민정이 준결승에서 힘차게 출발하는 모습.
뉴스 1
서울 양천구 목동빙상장 관중석이 오랜만에 꽉 들어찼다. 19일 이곳에서 열린 국제빙상연맹(ISU) 쇼트트랙 월드컵 4차 대회 마지막 날 경기를 보기 위해 6000여명이 몰렸다. 내년 2월 평창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열리는 마지막 월드컵인 만큼 홈팬들은 한국 선수들의 등장에 열렬한 응원을 보냈다. 영하 6도까지 내려가는 차가운 날씨 속에서도 경기장 안은 열기로 후끈 달아올랐다.

이날 한국 쇼트트랙 대표팀 중 여자 1000m에서 최민정(1분32초402)이 금메달, 남자 1000m에서 황대헌(1분26초365)이 은메달을 추가했다. 여자 3000m 계주 결승에서는 레이스 도중 중국 선수에게 밀려 넘어지며 안타깝게 동메달(4분18초487)을 목에 걸었고, 남자 5000m 계주 결승에서는 금메달(6분47초365)을 획득했다. 쇼트트랙 대표팀은 2관왕에 오른 최민정(1000m·1500m)의 활약에 힘입어 이번 4차 대회에서만 금메달 3개와 은 4개, 동 1개를 쓸어 담았다.

평창동계올림픽을 앞두고 모의고사 격인 1~4차 대회에서 한국 쇼트트랙 대표팀 선수들은 합격점을 받은 것으로 평가된다. 금메달 15개, 은 11개, 동 8개를 목에 걸었다. 월드컵 시리즈에 걸려 있던 금메달 32개 중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면서 쇼트트랙 최강국의 위용을 드러낸 것이다. 1~4차 월드컵 성적 중 가장 좋은 3개 대회 성적을 합산해 평창동계올림픽 출전권을 부여하는데 한국은 계주는 물론이고 세부 종목별 최대치인 3개씩의 출전권을 확보했다.

다만 1차 대회 때는 최민정이 4관왕에 오른 것을 비롯해 금메달 6개, 은 3개, 동 2개로 압도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2~4차 대회에서는 획득 메달 수가 줄어든 것은 아쉬운 점으로 꼽힌다. 약점으로 지적되는 남녀 500m에서도 1차 대회 때 최민정이 따낸 게 유일한 ‘골드’였다. 남자 계주에서는 4위-결선 실패-2위-1위를 기록하면서 다소 불안한 경기 운영이 눈에 띄었다. 평창동계올림픽까지 남은 80여일 동안 보완해야 할 숙제로 보인다.

김선태 쇼트트랙 대표팀 감독은 “크게 무리하지 않고 월드컵을 마무리한 것 같다”며 “선수들 부상을 치료하면서 올림픽 준비를 잘 해야겠다”고 말했다.

월드컵 시리즈를 마친 쇼트트랙 대표팀은 충북 진천선수촌으로 돌아가 체력훈련부터 다시 시작해 컨디션을 끌어올리며 ‘본고사’인 올림픽을 목표로 마지막 구슬땀을 흘린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7-11-20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