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하철 화재 참사 현장을 보존한 추모벽이 추모공간으로 거듭났다. 사고 발생 12년 만이다.
대구 지하철 참사는 2003년 2월 18일 대구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을 지나던 전동차에서 불이 나 192명이 숨지고 148명이 다친 대형 사고다.
대구시는 28일 오후 중앙로역 지하 2층 사고 현장에서 ‘기억의 공간(추모벽)’ 제막식을 가졌다.
제막 행사에 앞서 지하 1층에서 퓨전국악과 현악 4중주로 영령을 위로하고, 추모벽 조성 경과보고 등을 했다. 행사에는 희생자 가족과 권영진 대구시장, 이동희 시의회 의장, 추모벽추진위원, 안전문화재단 이사 등이 참석했다.
기억의 공간(길이 27m, 폭 3m)은 사고 현장 일부를 보존하다가 추모공간으로 꾸민 것. 국민 성금 5억 2000만원을 들였다. 공간 내부는 ‘새김과 스며듬’이란 의미를 담아 현장을 그대로 보존하고, 외부는 공감과 치유를 위한 마음을 담은 작품으로 구성했다. 새까맣게 그을린 추모벽에는 유가족과 시민이 손가락으로 남긴 애틋한 내용이 가득하다.
기억의 공간은 시와 피해자 단체가 2003년 5월 희생자를 추모하고, 안전교육장으로 활용하자는 데 뜻을 모으면서 비롯됐다. 2005년 추모벽설치위원회를 구성해 국내외 시설 벤치마킹과 의견 수렴을 했으나 피해자 단체 간 갈등으로 일정이 중단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 2014년 6월 사업 재추진에 들어가 8월에 사업추진 방법, 절차 등 세부사항을 마련하고 지난달 설치를 마쳤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추모벽 제막으로 대구가 미래 생명을 중시하는 안전하고 행복한 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모두가 노력하자”고 말했다.
대구 한찬규 기자 cghan@seoul.co.kr
대구 지하철 참사는 2003년 2월 18일 대구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을 지나던 전동차에서 불이 나 192명이 숨지고 148명이 다친 대형 사고다.
대구시는 28일 오후 중앙로역 지하 2층 사고 현장에서 ‘기억의 공간(추모벽)’ 제막식을 가졌다.
제막 행사에 앞서 지하 1층에서 퓨전국악과 현악 4중주로 영령을 위로하고, 추모벽 조성 경과보고 등을 했다. 행사에는 희생자 가족과 권영진 대구시장, 이동희 시의회 의장, 추모벽추진위원, 안전문화재단 이사 등이 참석했다.
기억의 공간(길이 27m, 폭 3m)은 사고 현장 일부를 보존하다가 추모공간으로 꾸민 것. 국민 성금 5억 2000만원을 들였다. 공간 내부는 ‘새김과 스며듬’이란 의미를 담아 현장을 그대로 보존하고, 외부는 공감과 치유를 위한 마음을 담은 작품으로 구성했다. 새까맣게 그을린 추모벽에는 유가족과 시민이 손가락으로 남긴 애틋한 내용이 가득하다.
기억의 공간은 시와 피해자 단체가 2003년 5월 희생자를 추모하고, 안전교육장으로 활용하자는 데 뜻을 모으면서 비롯됐다. 2005년 추모벽설치위원회를 구성해 국내외 시설 벤치마킹과 의견 수렴을 했으나 피해자 단체 간 갈등으로 일정이 중단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 2014년 6월 사업 재추진에 들어가 8월에 사업추진 방법, 절차 등 세부사항을 마련하고 지난달 설치를 마쳤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추모벽 제막으로 대구가 미래 생명을 중시하는 안전하고 행복한 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모두가 노력하자”고 말했다.
대구 한찬규 기자 cgha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