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장으론 두번째 뉴욕증권거래소 방문
서울 소재 혁신기업의 뉴욕시장 상장 요청
“서울대개조 통해 여의도 금융허브로 재탄생”

오세훈(가운데) 서울시장이 22일(현지시간) 오전 월스트리트 뉴욕증권거래소(NYSE)를 찾아 존 터틀(오른쪽) 부회장의 안내로 증권거래소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서울시 제공
24일 서울시에 따르면 오 시장은 22일(현지시간) 오전 미국 출장 마지막 공식 일정으로 시가 총액 기준 세계 최대 규모인 월스트리트 뉴욕증권거래소(NYSE)를 찾아 NYSE 존 터틀 부회장, 크리스 테일러 부사장 등과 면담했다. 서울시장의 뉴욕증권거래소 방문은 지난 2003년 당시 이명박 시장 이후 이번이 두 번째다.
오 시장은 “서울은 아시아 금융허브가 되기 위해 싱가포르, 홍콩과 경쟁하고 있다”면서 서울을 금융중심지로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소개했다. 이어 서울 소재 혁신기업의 뉴욕시장 상장 등에 대한 지원을 NYSE 측에 요청했다.
NYSE 측은 환영의 뜻에서 거래소 앞에 태극기와 성조기를 함께 내걸었다. 또 거래소 모니터 곳곳에 서울 휘장과 남산 사진을 표출했다.
오 시장은 거래소 내부를 둘러보고 트레이더들과도 담소를 나눴다. 쿠팡 시황이 표출된 모니터를 살펴보기도 했다.
한 트레이더는 “업무의 98%는 컴퓨터가 하지만, 2%는 사람이 담당해 기업 재무담당과 직접 소통한다”며 “사람이 책임감을 갖는 유일한 거래소여서 전 세계 큰 기업이 온다”고 자부심을 보였다.

오세훈(오른쪽 첫 번째) 서울시장이 21일(현지시간) 뉴욕 JW메리어트호텔에서 열린 ‘서울 투자가 포럼’에서 참석한 투자자들과 함께 환담을 나누고 있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와 대신증권이 주최하고 시 투자유치 전담기구인 인베스트서울이 주관한 포럼에는 JP 모건, 골드만삭스 등 주요 투자은행 관계자와 벤처캐피털(VC), 자산운용사 등 북미지역 주요 투자자 총 100여명이 참석했다.
오 시장은 개회사에서 “엔데믹 시대를 맞아 디지털 확산과 함께 국제 교류가 증대되는 흐름 속에서 서울이 주목받고 있다”며 “글로벌 경제의 중심지로서 서울의 발전 가능성은 매우 크다”고 밝혔다.
이어 “서울에 소재한 54개 대학을 통해 매년 13만명 가까이 배출되는 졸업생은 혁신의 주체이고 서울의 경쟁력”이라며 “청년의 기업가 정신은 서울을 세계적인 창업도시이자 첨단산업이 집적된 미래 도시로 이끄는 원동력”이라고 소개했다.
또 “서울이 보유한 글로벌 기업, 연구소, 대학교의 연구개발(R&D) 자원과 시의 적극적인 지원정책은 핀테크, 인공지능(AI), 디지털 헬스케어, 첨단 제조 등의 분야에서 20개의 유니콘을 포함한 수많은 스타트업이 성장하고 274조원 규모의 창업생태계가 조성되는 데 밑거름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오 시장은 “‘서울의 월스트리트’인 여의도는 서울 대개조를 통해 최고의 금융기업 입주시설과 관련해 시설을 확보하고 핀테크 등 디지털 금융의 허브로 재탄생시킬 계획”이라며 “서울 기업에 투자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투자 전 과정에서 맞춤형 지원을 하겠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