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37, 38, 39도… 절정 치닫는 ‘서우디’

36, 37, 38, 39도… 절정 치닫는 ‘서우디’

기민도 기자
기민도 기자
입력 2018-07-31 22:50
수정 2018-07-31 23: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어제 서울 공식 38.3도·비공식 39.3도
계속된 폭염에 올 최고·역대 두 번째
오늘 39도 예보… 사상 최고기온 될 수도
서울의 낮 최고기온이 38.3도까지 오르며 올 들어 가장 높은 기온을 기록한 31일 중구 명동에서 고양이탈을 쓴 알바생이 부채로 더위를 식히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서울의 낮 최고기온이 38.3도까지 오르며 올 들어 가장 높은 기온을 기록한 31일 중구 명동에서 고양이탈을 쓴 알바생이 부채로 더위를 식히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영등포구 여의도 한강공원을 찾은 한 시민이 마포대교 아래 그늘에 누워 휴식을 취하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영등포구 여의도 한강공원을 찾은 한 시민이 마포대교 아래 그늘에 누워 휴식을 취하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폭염이 좀처럼 누그러지지 않는 가운데 7월의 마지막 날 서울의 수은주가 38.3도까지 치솟았다. 올해 들어 서울에서 가장 높은 기온이자 기상관측 이래 역대 2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8월 첫날 서울의 낮 최고기온 또한 39도로 예보되는 등 하루 만에 기록이 바뀔 가능성도 있다.
31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19분 서울의 낮 최고기온이 38.3도까지 올랐다. 서울의 대표 관측지점인 종로구 송월동 기상청 서울관측소에서 측정한 공식 기록이다. 지난 22일 측정된 올 최고기온 38.0도를 9일 만에 갈아치웠다. 38.3도는 서울의 7~8월 기온으로는 1907년 서울관측소가 문을 연 이래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역대 1위는 사상 최고의 폭염이 있었던 해로 평가되는 1994년 7월 24일에 기록된 38.4도다.

이날 오후 2시 20분쯤부터 37도를 넘어선 서울의 수은주는 오후 3시 6분 38도를 넘어선 데 이어 앞서 1994년 7월 23일과 1943년 8월 24일, 1939년 8월 10일 세 차례 기록했던 38.2도마저 뛰어넘었다. 지난 22일 기록은 역대 6위로 밀렸다. 이날 전국적으로 낮 최고기온이 38도를 웃돈 곳은 서울 외에 강원 홍천과 영월(이상 38.5도)이다.
낮 최고기온이 35도까지 오른 충북 괴산군 연풍면 수옥폭포에서 관광객들이 폭포물을 맞으며 더위를 날리고 있다. 괴산 뉴스1
낮 최고기온이 35도까지 오른 충북 괴산군 연풍면 수옥폭포에서 관광객들이 폭포물을 맞으며 더위를 날리고 있다.
괴산 뉴스1
무인 자동기상관측기기(AWS)가 측정한 비공식 기록으로는 강북(수유)이 39.3도로 서울에서 가장 뜨거웠다. 전국에서는 경기 의왕(오전동)의 40.2도가 가장 높았고 경기 광주(퇴촌) 39.8도가 뒤를 이었다. AWS 측정은 공식 기록으로 인정받지는 못한다.
이미지 확대
연일 열대야가 계속 되는 가운데 강원 강릉시가 무료 개방한 컬링센터에서 31일 밤 한 시민이 얼음판에서 컬링 스톤을 던지며 무더위를 식히고 있다.  연합뉴스
연일 열대야가 계속 되는 가운데 강원 강릉시가 무료 개방한 컬링센터에서 31일 밤 한 시민이 얼음판에서 컬링 스톤을 던지며 무더위를 식히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의 낮 최고기온이 하루 만에 경신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수은주가 40도 가까이 치솟으며 날씨가 더 더워질 것으로 전망됐기 때문이다. 기상청은 1일 전국 아침 최저기온은 21∼28도, 낮 최고기온은 32∼39도의 분포를 보일 것으로 예보했다. 서울과 경기 수원, 강원 춘천 등이 39도, 충북 청주, 대전과 세종 등은 38도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날 남부 내륙은 오후 한때 구름이 많겠으나 전국 대부분은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으로 대체로 맑아 햇볕이 따갑겠다. 제주도는 낮 동안 산발적으로 빗방울이 떨어지는 곳이 있을 수도 있다. 기민도 기자 key0508@seoul.co.kr

2018-08-01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