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아들인 미디어아트 작가 문준용이 2018 평창동계올림픽 기념 전시에 아버지의 특혜를 받아 참가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반박했다.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의 아들 문준용(티노게임즈 기술디렉터) 작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문재인 대통령의 아들 문준용(티노게임즈 기술디렉터) 작가
문 작가는 8일 신헌준법률사무소를 통해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 “이번 평창미디어아트프로젝트는 민간기업이 자율적으로 주최했기에 정부나 공공기관의 개입·관여 소지가 전혀 없다”면서 “제 작품은 특혜를 받지 않았다”고 밝혔다.
문 작가는 “저는 충분한 기간 동안 작가로서 국내외 주요 전시회에 참여하는 등 역량을 인정받아 이 전시회에 초대받았다”라면서 “이에 대한 무분별한 특혜 의혹 제기는 제가 힘들게 쌓아온 실적을 폄훼하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런 식으로 제가 대통령 아들이라는 이유로 모든 작품 활동에 비방을 일삼는다면 앞으로 ‘개인 문준용’ ‘작가 문준용’으로서 어떠한 활동도 하지 못하게 된다”라면서 “오히려 역차별을 받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앞으로 이러한 무분별한 비방을 삼가달라”면서 바른정당 대변인의 사과도 요구했다. 바른정당 황유정 대변인은 지난달 31일자 논평에서 “만일 문씨가 권력을 손에 쥔 부모 덕에 잘나가는 것이라면 용서할 수 없는 적폐”라고 말한 바 있다.
문 작가는 지난 2일부터 기획사 휴로인터랙티브가 평창올림픽을 기념해 마련한 ‘평창(平窓): 창밖의 평화’ 전에 국내외 작가 20여 명과 함께 참여 중이다. 평창역 인근 용평면 저온저장고에 전시된 문 작가의 출품작은 사람이 영상 앞에서 제스처를 취하는 식으로 비행물체를 조종하는 인터랙티브 작품인 ‘소리를 향한 비행’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