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자부·국토부·경기도 ‘관리비 부당지수’ 산출…의심단지 조사
정부가 ‘빅데이터’(거대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아파트관리비 비리 근절에 나섰다.행정자치부·국토교통부·경기도는 공동주택관리비 투명성 제고를 위해 빅데이터 기법을 도입, 조사를 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국토부 등은 경기도 소재 공동주택의 관리비 47개 항목 요금과 각종 입찰 데이터를 분석해 단지별 ‘관리비 부당지수’와 ‘입찰부조리지수’를 최근 산출했다.
부당지수가 높은 단지는 여건이 유사한 단지 가운데 특별한 사유 없이 유난히 관리비가 높아 비리가 의심되는 곳이다.
국토부와 경기도는 부당지수가 높은 곳 중 3곳을 대상으로 감사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관리비 투명성 제고에 빅데이터 기술을 도입한 것은 정부와 자치단체가 수많은 공동주택의 관리비를 하나하나 조사하기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법으로 관리비 10%를 줄일 수 있다면 전국적으로 1조 1천억원에 이르는 절감효과가 날 것으로 행자부는 기대했다.
정부는 공동주택관리비 투명성 제고 과제 외에 올해 ▲ 근로감독 대상 사업장 선정(고용노동부) ▲ 관광지·축제 방문율 제고방안 수립(전북·전주시) ▲ 자치단체 갈등 이슈 조기 파악(행자부) 등 빅데이터 분석 과제 3건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는 각 기관의 정책 설계·추진에 반영된다.
심덕섭 행자부 창조정부조직실장은 “빅데이터 기술을 정부·자치단체에 확산시켜 정부3.0이 지향하는 ‘맞춤 서비스’를 추진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