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9일 전남 해남 화원면에서 문내면 방향으로 운행하던 자동차가 2차로로 지나가고 있는 경운기를 들이받아 경운기 운전자(87)가 현장에서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농어촌에서 흔히 발생하는 교통사고 유형이다. 농어촌지역 농기계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농기계 운전자가 대부분 노인들이라는 점에서 고령자사고 증가와도 연관된다.
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0∼2014년) 농기계 교통사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 사망자 수는 2010년 39명에서 2014년 75명으로 급증했다. 연령대별로는 전체 사망자 341명 중 70대 이상이 159명으로 46.6%, 60대가 99명으로 29.0%, 50대가 59명으로 17.3%를 차지해 연령이 높을수록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다.
사고유형별 교통사고 발생 건수를 전체 자동차 교통사고와 비교하면 차량 단독사고 비율이 전체 자동차 교통사고보다 6.3배 높았다. 사고 유형은 야간운행이나 음주운전, 조향장치 과다조작 등으로 인한 전도·전복(35%), 도로이탈(29%), 공작물 충돌(6%) 등으로 분석됐다.
특히 농기계는 사고발생 시 치사율이 일반 차량사고보다 10배(2014년 전체 1.39%, 농기계 14.18%) 이상 높다. 이는 별다른 안전장치가 없는 농기계의 특성상 운전자뿐만 아니라 다른 동승자가 함께 탑승했을 경우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할 확률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용길 교통안전공단 도로교통안전처장은 “고령자일수록 상대적으로 시각, 청각 등 인지능력과 운전능력이 떨어져 농촌지역에 큰 문제가 되고 있다”며 “농기계를 운행할 때는 운전자만 탑승하고 음주운전을 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자동차 운전자 역시 농촌지역 도로를 지날 때는 속도가 느리고 식별이 어려운 농기계가 운행하고 있다는 사실을 항상 유념하고 방어운전을 해야 한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0∼2014년) 농기계 교통사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 사망자 수는 2010년 39명에서 2014년 75명으로 급증했다. 연령대별로는 전체 사망자 341명 중 70대 이상이 159명으로 46.6%, 60대가 99명으로 29.0%, 50대가 59명으로 17.3%를 차지해 연령이 높을수록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다.
사고유형별 교통사고 발생 건수를 전체 자동차 교통사고와 비교하면 차량 단독사고 비율이 전체 자동차 교통사고보다 6.3배 높았다. 사고 유형은 야간운행이나 음주운전, 조향장치 과다조작 등으로 인한 전도·전복(35%), 도로이탈(29%), 공작물 충돌(6%) 등으로 분석됐다.
특히 농기계는 사고발생 시 치사율이 일반 차량사고보다 10배(2014년 전체 1.39%, 농기계 14.18%) 이상 높다. 이는 별다른 안전장치가 없는 농기계의 특성상 운전자뿐만 아니라 다른 동승자가 함께 탑승했을 경우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할 확률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용길 교통안전공단 도로교통안전처장은 “고령자일수록 상대적으로 시각, 청각 등 인지능력과 운전능력이 떨어져 농촌지역에 큰 문제가 되고 있다”며 “농기계를 운행할 때는 운전자만 탑승하고 음주운전을 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자동차 운전자 역시 농촌지역 도로를 지날 때는 속도가 느리고 식별이 어려운 농기계가 운행하고 있다는 사실을 항상 유념하고 방어운전을 해야 한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5-12-23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