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70주년을 맞아 서울시청 신청사 외벽이 태극기를 든 백범 김구 선생의 이미지로 꾸며진다.
서울시는 세종대로쪽 신청사 외벽을 김구 선생이 서명문 태극기를 들고 있는 이미지로 꾸며 6일 저녁부터 공개한다.
현재 세종대로쪽 신청사 외벽은 어린 소녀가 팻말 모양의 전광판을 든 이미지로 꾸며져 있다. 이 전광판은 시민이 보낸 문자메시지가 실시간 표출되는 시민게시판으로 운영되고 있다.
시민게시판 자리에는 서명문 태극기가 재현된다. 서명문 태극기는 김구 선생이 1941년 중국에서 선교활동을 하던 벨기에 출신 신부 매우사(梅雨絲)가 미국으로 건너갈 때 선물한 것이다.
이 태극기에는 “망국의 설움을 면하려거든, 자유와 행복을 누리려거든, 정력과 인력과 물력을 광복군에게 바쳐 강노말세(强弩末勢)인 원수 일본을 타도하고 조국의 광복을 완성하자’라는 내용과 김구 선생의 서명이 들어 있다.
매우사는 후에 안창호 선생의 부인에게 이 태극기를 맡겼고 태극기는 1985년 독립기념관에 기증됐다.
이번에 재현된 태극기는 서울시가 독립기념관의 승인을 받아 원본과 같게 만든 것이다.
서울시는 또 문자만 표출되던 시민게시판의 전광판을 사진과 영상까지 표출할 수 있는 LED 전광판으로 바꿔 10월 중 선보일 예정이다. 공사가 시작되는 6일부터 다음달 30일까지 휴대전화 문자서비스는 중단된다.
김구 선생 이미지의 외벽도 새 LED 전광판이 선보일 때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연합뉴스
서울시는 세종대로쪽 신청사 외벽을 김구 선생이 서명문 태극기를 들고 있는 이미지로 꾸며 6일 저녁부터 공개한다.
현재 세종대로쪽 신청사 외벽은 어린 소녀가 팻말 모양의 전광판을 든 이미지로 꾸며져 있다. 이 전광판은 시민이 보낸 문자메시지가 실시간 표출되는 시민게시판으로 운영되고 있다.
시민게시판 자리에는 서명문 태극기가 재현된다. 서명문 태극기는 김구 선생이 1941년 중국에서 선교활동을 하던 벨기에 출신 신부 매우사(梅雨絲)가 미국으로 건너갈 때 선물한 것이다.
이 태극기에는 “망국의 설움을 면하려거든, 자유와 행복을 누리려거든, 정력과 인력과 물력을 광복군에게 바쳐 강노말세(强弩末勢)인 원수 일본을 타도하고 조국의 광복을 완성하자’라는 내용과 김구 선생의 서명이 들어 있다.
매우사는 후에 안창호 선생의 부인에게 이 태극기를 맡겼고 태극기는 1985년 독립기념관에 기증됐다.
이번에 재현된 태극기는 서울시가 독립기념관의 승인을 받아 원본과 같게 만든 것이다.
서울시는 또 문자만 표출되던 시민게시판의 전광판을 사진과 영상까지 표출할 수 있는 LED 전광판으로 바꿔 10월 중 선보일 예정이다. 공사가 시작되는 6일부터 다음달 30일까지 휴대전화 문자서비스는 중단된다.
김구 선생 이미지의 외벽도 새 LED 전광판이 선보일 때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