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선체 인양을 위해 국내외 27개 업체가 손을 들었다. 미국 타이탄, 네덜란드 스미트 등 세계적인 인양 업체들이 총출동했다. 해양수산부는 다음달 초 잠수·선체구조 등 분야별 대내외 전문가들과 기술제안서를 면밀히 검토한 후 가격 점수와 합쳐 최종 인양 업체를 선정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23일 세월호 선체 인양을 위한 국제 입찰에 7개 컨소시엄이 참여했다고 밝혔다. 국부 유출 우려를 감안해 국내외 컨소시엄에 최대 8점의 가산점을 주기로 한 결과 해외·국내 업체 컨소시엄은 5개, 2개는 국내 업체끼리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국내외 업체 간 컨소시엄을 구성한 경우 대표사는 모두 외국 업체이며 본사 소재지 기준 미국 2개, 네덜란드 1개, 덴마크 1개, 중국 2개 업체가 참여했다. 미국 타이탄, 네덜란드 스미트, 덴마크 시비처, 중국 차이나샐비지 등 각국 최상위 인양 업체들이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스비처·타이탄-태평양해양산업 등 해외업체 2개가 참여한 컨소시엄과 리졸브마린그룹-살코 컨소시엄 등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수부는 7월 초 제안서 평가 후 총점 1순위 업체부터 협상을 통해 계약을 체결하고 9월 중 해상 작업을 시작한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해수부는 23일 세월호 선체 인양을 위한 국제 입찰에 7개 컨소시엄이 참여했다고 밝혔다. 국부 유출 우려를 감안해 국내외 컨소시엄에 최대 8점의 가산점을 주기로 한 결과 해외·국내 업체 컨소시엄은 5개, 2개는 국내 업체끼리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국내외 업체 간 컨소시엄을 구성한 경우 대표사는 모두 외국 업체이며 본사 소재지 기준 미국 2개, 네덜란드 1개, 덴마크 1개, 중국 2개 업체가 참여했다. 미국 타이탄, 네덜란드 스미트, 덴마크 시비처, 중국 차이나샐비지 등 각국 최상위 인양 업체들이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스비처·타이탄-태평양해양산업 등 해외업체 2개가 참여한 컨소시엄과 리졸브마린그룹-살코 컨소시엄 등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수부는 7월 초 제안서 평가 후 총점 1순위 업체부터 협상을 통해 계약을 체결하고 9월 중 해상 작업을 시작한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5-06-24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