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진도 해상 여객선 침몰사고 원인이 항로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뱃머리를 갑자기 돌리는 순간 무게 중심이 쏠린 데 있었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미지 확대
해경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해경 제공
세월호 선장 이준석(60)씨 등 승무원을 밤새 조사한 해경 여객선 침몰사고 수사본부는 사고 원인을 ‘무리한 변침’으로 잠정 결론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변침(變針)은 여객선이나 항공기 운항 등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로 항로를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사고 지점은 목포-제주, 인천-제주로 향하는 여객선과 선박이 서로 항로를 바꾸는 변침점이다.
제주로 항해할 경우 병풍도를 끼고 왼쪽으로 뱃머리를 돌려 가는 곳이다. 사고 선박이 좌현으로 기운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해경은 세월호가 이 변침점에서 완만하게 항로를 바꾸는 ‘소침’으로 해야하지만 급격하게 뱃머리를 돌린 것으로 보고 있다.
자동차로 보면 핸들을 완만하게 꺾어야 하는데 무슨 사정에서인지 급하게 돌렸다는 것이다. 많은 승객이 증언한 ‘쾅’하는 소리는 1, 2층에 실린 화물 컨테이너와 승용차 등이 한쪽으로 쏠리면서 선체를 충격한 정황으로 볼 수 있다. 세월호에는 당시 차량 180대와 컨테이너 화물 1157t이 실린 상태였다.
화물들은 결박돼 있었지만 배가 한쪽으로 쏠리면 무게 중심이 변하면서 한쪽으로 쏠렸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실제 이를 증명하는 증언도 잇따르고 있다. 보일러실에 근무했던 승선원 전모(61)씨는 “오전 7시 40분쯤 업무를 마치고 업무 일지를 쓰던 중 갑자기 배가 기울었다. 창문이 박살 나고 사람들이 한쪽으로 쏠릴 정도였다”고 말했다.
이는 최초 사고가 신고 시각인 오전 8시 52분보다 최소 1시간 앞선 오전 7시 30분∼8시 사이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케 한다. 화물차를 싣고 세월호에 탔다가 구조된 A씨는 “배가 서서히 기울다가 90도로 쓰러질 때 한 번, 180도로 전복될 때 한 번씩 확 기울었다.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화물차가 있는 여객선 1층으로 가봤더니 배에 실린 차량과 짐들은 그때마다 방향을 바꿔 한쪽으로 쏠렸다”고 전했다.
구조에 참여한 민간 어선 선장 B씨도 “오전 10시쯤 사고 현장에 도착했을 때는 옆으로 완전히 쓰러진 상황이었다. 서서히 기울던 배가 완전히 뒤집힐 즈음 순간적으로 확 기울었다”고 전했다. 해경은 급격한 변침으로 결박 화물이 이탈하고 그 여파로 배가 서서히 기운 뒤 사고 신고 직후에는 통제가 힘들 정도로 기울어진 것으로 해경은 보고 있다.
일부 생존자들이 들었다는 ‘지지직’하는 소리는 배가 중심을 잃으면서 화물이 쏟아지면서 난 것인지 조타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폭이 좁은 항로에서 인근 암초에 부딪히고 나가면서 발생한 것인지는 선체 인양 후 파공 여부를 확인해야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