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성필 명지대 교수팀

황성필 명지대 교수
연구팀은 반도체를 만드는 기판인 실리콘웨이퍼 위에 머리카락보다 얇은 100㎚(1000만분의 1m) 두께의 나노선을 밀집시킨 뒤 물에 넣고 햇빛을 쪼였다. 그 결과 기존의 평평한 실리콘웨이퍼에 비해 수소 발생량이 획기적으로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황 교수는 “태양에너지를 이용해 수소를 생산하게 되면 기존의 전기발전에 비해 에너지의 보관과 운반이 쉬워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쉽게 활용할 수 있다.”면서 “특히 기존의 반도체 시설을 전환하는 것만으로도 수소 대량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1-12-2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