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검찰로 송치된 10·26 재·보궐선거일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 사건에 대해 검찰이 사실상 재수사 의지를 밝혔다. 검찰 관계자는 “경찰에서 송치된 수사 내용을 참고는 하겠지만 원론적인 입장에서 하나씩 조목조목 따져가며 새로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번 사건의 경우 피의자의 진술에만 의존해 의도대로 끌려간 면이 없지 않다. 로그기록과 계좌추적 등 확실한 물증을 토대로 사실을 밝혀 내겠다.”며 수사 의지를 불태웠다.
이처럼 검찰이 ‘원점 재수사’ 방침을 밝힌 것은 경찰의 수사에서 일부 의혹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수사 대상자가 정부 및 여권과 관련돼 있다 보니 경찰이 정치권의 눈치를 살펴 수사에 총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검경 수사권 조정과 관련해 경찰이 여권과 각을 세워 이로울 게 하나도 없다는 이유도 나온다. 경찰이 자신들의 손으로 정부 및 여권 인사를 구속하지 않으려는 의도가 깔린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경찰의 ‘차도살인’(借刀殺人·남의 칼을 빌려 사람을 죽인다) 계략이란 견해다.
이와 관련, 검찰도 경찰 수사 결과에 대해 “석연치 않다.”는 반응을 보였다. 검찰 관계자는 경찰이 “기간이 짧아서 수사를 다 못했다.”고 밝힌 것에 대해 “이는 날짜 핑계를 대고 부실수사를 하겠다고 예고를 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검찰 일각에선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검찰 수사 결과 별다른 진척이 없을 경우 오히려 검찰이 여론의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영준·최재헌기자 apple@seou.co.kr
이처럼 검찰이 ‘원점 재수사’ 방침을 밝힌 것은 경찰의 수사에서 일부 의혹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수사 대상자가 정부 및 여권과 관련돼 있다 보니 경찰이 정치권의 눈치를 살펴 수사에 총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검경 수사권 조정과 관련해 경찰이 여권과 각을 세워 이로울 게 하나도 없다는 이유도 나온다. 경찰이 자신들의 손으로 정부 및 여권 인사를 구속하지 않으려는 의도가 깔린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경찰의 ‘차도살인’(借刀殺人·남의 칼을 빌려 사람을 죽인다) 계략이란 견해다.
이와 관련, 검찰도 경찰 수사 결과에 대해 “석연치 않다.”는 반응을 보였다. 검찰 관계자는 경찰이 “기간이 짧아서 수사를 다 못했다.”고 밝힌 것에 대해 “이는 날짜 핑계를 대고 부실수사를 하겠다고 예고를 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검찰 일각에선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검찰 수사 결과 별다른 진척이 없을 경우 오히려 검찰이 여론의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영준·최재헌기자 apple@seou.co.kr
2011-12-1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