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도박범죄의 문제점
지난 한해 도박범으로 검거된 3만 8898명 가운데 40대가 36.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50대는 25.1%로 두 번째였다. 우리 사회의 중심축인 중장년층이 전체 도박범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이다. 조기 퇴직으로 인한 심리적 불안과 일상의 권태로 자극과 요행을 찾고, 사회생활에서 누적된 스트레스와 직장·가정 내 갈등 등이 두드러지는 연령층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중간 보직의 계약직 확대 등 일자리 확충과 국가 차원의 도박 근절 시스템 지원이 갖춰지지 않으면 이 같은 추세가 심화될 것이라고 진단했다.18일 경찰청의 ‘도박범죄 검거 현황’에 따르면 2010년 도박범으로 검거된 3만 8898명 중 40, 50대는 61.1%로 집계됐다. 이어 30대 8452명(21.7%), 20대 3567명(9.2%), 60대 2278명(5.9%) 등의 순이었다.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문제는 가장들이 도박에 빠지면서 가정이 붕괴되고 이것이 청소년 비행, 소년 범죄로 이어져 물결처럼 사회적 문제로 번진다는 것”이라면서 “기업의 경력직 활용 정책과 상담 등을 통해 유혹에 빠지는 중장년층을 끌어안아야 한다.”고 말했다.
백민경·최두희기자 white@seoul.co.kr
2011-03-1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