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보라 속 순직한 故 오기수 안면우체국 집배원 30주기
30년 전 오늘도 바닷바람이 이처럼 매섭게 불었을까. 오국진(52)씨는 눈보라 속에서 돌아가신 아버지를 떠올리며 눈물을 쏟았다. 12일은 집배원이었던 아버지 오기수(당시 48세)씨가 우편배달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세상을 떠난 지 30주기가 되는 날. 충남 태안군 안면우체국에서는 고 오기수 집배원을 기리기 위한 추모식이 열렸다.
우정사업본부 제공
12일 충남 태안군 안면우체국에서 열린 고 오기수 집배원 30주기 추모식에서 안면우체국 집배원들이 헌화하고 있다.
우정사업본부 제공
우정사업본부 제공
●죽기 직전까지 간직한 집배원 가방
1980년 12월 12일 오후 7시. 오기수씨는 눈보라가 세차게 몰아치는 안면도 하늘을 바라보면서 다시 한번 옷깃을 여몄다. 안면읍 산야리 엄정한씨에게 마지막 우편물인 신문을 배달하고 나오는 길이었다. 우체국까지 거리는 10㎞. 그는 지름길로 가면 빨리 도착하리라고 여겼다.

밤 늦도록 오씨가 돌아오지 않자 안면우체국 동료 8명은 눈발이 잠잠해진 이튿날 아침 일찍부터 오씨를 찾아 나섰다. 얼마 후 벼랑 아래 눈 속에 파묻혀 숨져 있는 오씨를 발견했다.
엄씨의 집에서 불과 600m 떨어진 곳이었다. 전날 밤 마을을 나서자마자 변을 당한 것이다.
오씨의 주검을 수습하던 동료들의 눈에 굴러 떨어진 오씨의 자전거가 눈에 띄었다. 심한 눈보라 속에서 발을 헛디뎌 벼랑 아래로 추락한 것이 틀림없었다. 강정평 당시 안면우체국장은 “그의 품 안에는 집배원 가방과 보조낭이 있었다.”고 회상했다.
오씨의 사연은 당시 서울신문 1980년 12월 19일 자 5면에 ‘우편물 한 통 전하려 10㎞ 눈보라길 걷다 집배원 실족…추락사’라는 제목으로 보도됐다.
이날 추모식에서 장녀인 오차남(53)씨는 “마지막 우편물을 전하기 위해 위험을 무릅쓰고 길을 나선 아버지를 존경한다.”면서 “이메일이나 인터넷이 쉽게 되는 세상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일”이라고 했다. 당시 고교 1학년생이었던 셋째 아들 오수영(45)씨는 “아버지가 아침에는 빨간색 가죽가방에 넘치도록 우편물을 담아 자전거에 싣고 나가셨다가 저녁에 퇴근하실 때에는 자신도 모르게 바지 끝자락에 고드름을 매달고 들어오시던 기억이 눈에 선하다.”면서 “안면도는 섬이라 눈과 바람이 거센데 추운 날씨에 얼마나 고생하셨겠나.”라고 회상했다.
●우정인 가슴에 희생정신 영원히…
오씨의 추모식은 매년 가족끼리 조촐하게 열다가 올해 30주기를 맞아 우정사업본부 차원에서 진행됐다. 남궁민 본부장 외에 이항구 체신노조위원장, 안면우체국과 태안우체국 집배원, 정우회(퇴직자 모임) 회원 등 150여명이 참석했다. 그를 기리는 추모비에는 ‘한 통의 편지를 위한 님의 정성 우리 온 가슴에 길이 남으리’라는 글이 새겨졌다.
부인 권진숙(73)씨는 자녀들이 분향하는 내내 눈물을 훔쳤다. 남궁 본부장은 “우체국이 국민들에게 변함없이 사랑을 받는 것은 자신을 헌신하는 우정인들의 땀과 희생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1970년 이후 오씨처럼 업무 중 순직한 우정인은 359명이다.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2010-12-1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