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 공천이란 기준에서 철저 심사”…‘비박 학살’ 정면 반박
청와대 사정에 밝은 한 여권 핵심 관계자는 16일 총선 공천과 관련, “집권여당의 국회의원은 기본적으로 국회의원으로서 역할도 있지만, 집권여당의 일원으로서 책임을 방기하거나 간과해선 안된다”며 “이번 공천과정에서는 ‘책임공천’이라는 기준에서 철저히 심사된 것”이라고 말했다.이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같이 말하고 “당정간에 분란과 혼선을 일으킨 사람들은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언급은 구(舊)주류 친이계 좌장격인 이재오 의원, 유승민 의원과 가까운 의원 등이 대거 공천에서 탈락하자 ‘비박(비박근혜)계 학살’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데 대해 정면 반박한 것으로 해석된다.
핵심 관계자는 또 “국민이 왜 대통령을 뽑았고, 집권당을 다수당으로 만들어줬는가를 생각해봐야 한다”면서 “이는 당정간에 힘을 합쳐 국민을 위해 일하라는 지상명령”이라고 지적했다.
이러한 ‘책임공천론’은 박 대통령이 지난해 6월 ‘배신의 정치’를 거론하면서 유승민 전 원내대표를 비판했던 것과도 궤를 같이 하는 것으로, 당 정체성에 위배되는 후보는 배제하겠다는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의 공언과도 일맥상통한다.
핵심 관계자는 공천 탈락 후보들의 무소속 연대 움직임에 대해선 “그렇게 해서라도 국회의원이 하고 싶다면 그것은 본인의 선택”이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야당은 운동권 정당의 강성 이미지를 희석시키는 ‘화장 공천’을 진행 중”이라면서 “그러나 여당은 국정의 책임이 강조되는 공천이어야 한다. 국민이 대통령과 집권여당을 뽑아준 만큼 일부 비판과 분란이 있더라도 이를 감수하고 국정을 책임지고 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친박(친박근혜) 관계자는 “힘을 합쳐 국민을 위해 일하라고 대통령을 뽑고 여당을 다수당으로 만들어 준 것 아니냐”면서 “이는 힘을 똘똘 합쳐서 일을 해내라는 얘기이고, 이번 공천에는 이런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