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야권, 교과서 핑계로 야합…민생은 어디에 있나”

與 “야권, 교과서 핑계로 야합…민생은 어디에 있나”

입력 2015-10-25 17:12
수정 2015-10-25 17: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친박계 국정화 토론회…야권 연대에 ‘맞불’정두언 “국정화는 시대흐름에 반해”…내부 비판도 이어져

새누리당은 중·고교 역사교과서의 국정 전환이 확정·고시되는 오는 5일까지 열흘 남짓이 민심의 향배를 가를 갈림길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휴일인 25일에도 여론전에 주력했다.

국정화 반대 여론을 이때까지 누그러뜨리지 않을 경우 집필진 구성을 포함해 새 역사교과서 역사교과서 발행 계획이 처음부터 차질을 빚고, 나아가 내년 총선과 차기 대선에도 악영향이 미칠 수 있다는 인식에서다.

김무성 대표는 이날 서울 목동운동장에서 열린 이북5도민 체육대회 축사에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아직 집필진도 구성되지 않고 단 한 자도 쓰이지 않은 올바른 역사교과서에 대해 ‘친일을 미화하고 독재를 미화한다’고 국민을 속여도 되느냐”라고 비판했다.

통상 여당 대표는 이북5도민 체육대회에 가지 않았지만 김 대표는 역사교과서 여론몰이를 위해 이러한 전례를 깨고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대표는 또 기자들과 예정에 없던 오찬을 갖고 ‘당내 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반발이 있다’는 기자들의 지적에 “지금 여론조사를 봐도 현행 교과서에 문제가 있다는 응답이 더 높다”며 굽힐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밝혔다.

새누리당은 또 이날 새정치연합 문 대표, 정의당 심상정 대표, 무소속 천정배 의원이 역사교과서 체험관인 ‘교과서의 진실과 거짓’ 개관식에 참석하며 장외 선전전을 강화하는 데 대해서도 강력히 비판했다.

특히 야권의 이런 행보에 대해 내년 총선에서 교과서를 빌미로 야권 연대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정치적 꼼수’라며 깎아내렸다.

신의진 대변인은 논평에서 “집필진이나 내용이 확정도 안된 교과서에 나쁜 이미지를 덧씌우고, 이를 핑계로 야권 야합이라는 얄팍한 꼼수를 쓰는 야당의 행태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신 대변인은 “민생법안, 경제살리기 법안을 볼모로 장외투쟁을 벌이는 야당에 과연 민생은 어디에 있는지 묻고 싶다”면서 “역사 교과서를 핑계로 거리를 떠돌 게 아니라 일하는 국회를 위해 여의도로 돌아와 달라”고 촉구했다.

새누리당은 야권이 국정화 반대투쟁의 수위를 끌어올리는 데 대응해 이번주 적극적인 ‘맞불 작전’에 나설 태세다.

친박(친박근혜)계가 주축이 된 당내 모임인 국가경쟁력강화포럼은 오는 26일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왜 필요한가’를 주제로 세미나를 열어 국회에서 야당의 공세에 맞서기 위한 결속을 도모한다.

특히 오는 27일 박근혜 대통령이 내년도 예산안 방향을 설명하고 국회의 조속한 처리를 당부하는 시정연설에서 교과서를 거론할 것으로 예상돼 여야의 공방은 정점으로 치달을 전망이다.

그러나 이런 가운데 비박(비박근혜)계를 중심으로는 국정화에 대한 비판이 잇따라 제기돼 내부 파열음도 커지는 양상이다.

정두언 의원은 자신의 블로그에 “교과서의 좌편향성이 자유민주주의를 저해하고 있지만 국정화라는 방식은 시대의 흐름에 역행하는 것으로서, 이 또한 자유민주주의에 반하는 것”이라면서 “’연평해전’과 같은 영화가 대박을 치는 우(右)턴 현상에 쐐기를 박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검인정 기준을 엄격히 적용하고, EBS에서 균형잡힌 교과서를 값싸게 공급하도록 한 뒤 학부모에게 맡기면 된다”면서 “새누리당 전원이 한목소리로 간다면 국민에게 ‘도로 민정당’으로 비춰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