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를 르브룅, 그라니쿠스 전투(1664~1665), 캔버스에 유채, 470×1209㎝, 파리 루브르박물관 소장. 사회평론아카데미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샤를 르브룅, 그라니쿠스 전투(1664~1665), 캔버스에 유채, 470×1209㎝, 파리 루브르박물관 소장. 사회평론아카데미 제공
태피스트리의 뜻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직조기를 이용해 씨실과 날실을 엮어 인물이나 정물, 풍경, 역사 속 장면 등을 표현하는 직물 공예’라고 풀이돼 있다. 태피스트리 작품을 볼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아 사전의 설명만으로는 어떤 것인지 궁금할 수밖에 없다.
이미지 확대
고블랭 제작소, 그라니쿠스 전투(1680~1687), 태피스트리, 485×845㎝, 빈 미술사박물관 소장. 사회평론아카데미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고블랭 제작소, 그라니쿠스 전투(1680~1687), 태피스트리, 485×845㎝, 빈 미술사박물관 소장. 사회평론아카데미 제공
이 책에 등장하는 화려한 태피스트리 작품들을 보노라면 입이 절로 벌어진다. ‘태양왕’ 루이 14세가 ‘가장 위대한 화가’라고 극찬한 샤를 르브룅이 알렉산더 전투 장면을 묘사한 ‘그라니쿠스 전투’라는 회화와 이를 몇 년 뒤 태피스트리로 만든 작품을 비교하면 놀라움을 금할 수 없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구슬을 꿰어 보배로 만드는 것도, 보는 이를 황홀경에 빠지게 만드는 예술작품이 되는 것도 핵심은 실이다. ‘그까짓 실 한 가닥’이라고 우습게 볼 것이 아니다. 세상에 하찮은 것은 없다는 말을 새삼 느끼게 하는 책이다.
유용하 기자
2023-09-1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