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없는 완전한 삶(엘런 L 워커 지음, 공보경 옮김, 푸른숲 펴냄) ‘딩크족’(아이를 낳지 않는 맞벌이 부부)이란 말이 유행한 지도 오래됐지만 아이를 낳지 않는 일은 여전히 정상적이지 않은 일로 여겨진다. 아이 없이 살기로 한 어느 임상심리학자가 자신처럼 ‘아이 없는 삶’을 사는 사람들을 인터뷰해 엮은 이 책은 아이 없는 사람들의 특징, 이들이 마주하는 현실적인 불안, 아이가 없기에 누릴 수 있는 행복과 상실감들을 두루 짚고 있다. 저자는 ‘아이 없는 삶은 결핍이 아닌 선택’이라고 말하면서 ‘자식 없이 살 권리’를 주장하는 운동이나 ‘무자식 상팔자’ 같은 자조가 아닌, 새로운 라이프스타일로서 아이 없는 삶을 제안한다. 292쪽. 1만 5000원.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법의 지도(최승필 지음, 헤이북스 펴냄) 법은 법전에 담긴 딱딱한 규범이 아니라 시대와 상황에 반응해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한다. 완벽하진 않더라도 최선의 법을 만들고 시민으로서 권리를 주장하려면 먼저 이런 법의 속성을 이해해야 한다는 게 이 책의 요지다. 저자는 고대 로마의 신탁제도와 게르만족의 점유권 전통이 오랜 기간 계승되고 다듬어져 현재의 법제 구조가 형성됐다고 설명한다. 법이 현실을 반영하는 만큼 항상 정의롭지만은 않다. 충돌하는 이해관계 속에서 이뤄진 타협의 산물일 때가 많다. 국가 간 문제에서는 정의보다는 힘을 바탕으로 한 조정과 합의가 우선이다. 저자는 “세상이 돌아가는 모습을 법을 통해서 보여 주고 싶었다”고 말한다. 400쪽. 1만 7900원.
2016-05-2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