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고생 작가 이지수의 판타지 소설 ‘제국의 고백’
사대부의 외동딸 ‘차아나’는 자신의 꿈에 따로 경계를 두지 않았다. 봉건의 시대 상황 속에서 여자로서 드러낼 수밖에 없는 한계 또한 긋지 않았다. 사회적 제약에 연연해하지 않고 위민의 정치, 피비린내 나는 전장에 과감히 뛰어들어 모반의 혁명 의지를 펼쳐낸다.
이지수
장편소설 ‘제국의 고백’(경향신문사 펴냄)은 작가 이지수의 머릿속에만 존재하는 시대, 고대국가 ‘아제국’(亞制國)이라는 나라의 상황을 통해 개인과 국가가 얽혀 있는 모습을 그려낸 판타지 역사소설이다.
‘아제국’의 절대군주는 수제헌. 폭군에 가깝다. 실상은 형을 죽이고 왕위에 올랐다는 가슴속 죄의식을 위악적으로 풀어내는 인물이다. 그는 차아나를 우연히 만나 삶과 위정의 방향에 변화의 계기를 찾는다.
차아나 또한 오랜 시간 인생의 지표처럼 여겼던 수제헌의 현실을 안타까워하며 그를 위해 직언하고 모반의 무리 한가운데로 뛰어드는 일을 마다하지 않는다. 새로운 세상을 꿈꾸는 반란군 수장은 고주노다. 차아나는 둘 사이를 오가며 국가와 정치체제의 올바른 상을 잡아가고, 때로는 둘 사이에서 마음을 정하지 못해 흔들리기도 한다.
소설은 수제헌과 고주노가 출생의 비밀로 얽혀 있음을 보여주며 급물살을 탄다.
이지수는 작가의 말을 통해 “수제헌의 인간적 갈등과 죄책감을 통해 독재정치의 폐해와 전제군주제가 빠질 수 있는 위험, 그리고 잘못된 것을 바로잡기 위한 노력을 그리려 했다.”고 밝혔다.
이지수는 1993년생, 만 18세 고등학생이다. 초등학교를 졸업한 뒤 한국을 떠나 캐나다 밴쿠버에서 중학교 과정을 마쳤고, 현재 미국 뉴햄프셔주 세인트폴스쿨을 다니고 있다.
오는 9월 12학년이 된다. 한국으로 치면 고 3이 되는 셈이다. 그렇기에 더더욱 ‘문학 소녀류 취향’의 소설이 아닌 역사 판타지라는 형식을 통해 만만치 않은 문장력과 상상력, 현실과의 접점 등을 풀어냈다는 사실이 쉬 믿기지 않는다.
또한 소설 읽기에 쉼표가 되는 동시에 이 소설의 맛을 더욱 살려낸 몇 장의 삽화는 작품의 몽환적인 분위기를 더욱 부추긴다. 서울예술고 1학년인 곽성민의 그림이다. 자기 분야에서 일찍 재능을 틔운 두 사람이 절묘하게 만났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1-06-25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