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통해 삶을 레벨업시켜 볼까 [웹툰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운동 통해 삶을 레벨업시켜 볼까 [웹툰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입력 2022-12-29 17:22
수정 2022-12-30 02: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여성전용헬스장 진달래짐

이미지 확대
어느덧 한 해가 저물고 새로운 해가 다가오고 있다. 1월이 되면 가장 붐비는 곳은 체육관일 것이다. 많은 사람이 새해에는 꼭 운동을 하겠다고 결심하고 바삐 움직이기 시작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은 1월이 채 가기도 전에 다시 예전의 자신으로 돌아간다. 이유는 제각각이다. 너무 무리를 해서 부상이 왔다느니, 나하고 이 운동은 맞지 않는 것 같다느니, 열심히 했는데도 아무런 변화를 느끼지 못했다느니…. 그렇게 당찼던 결심은 애꿎은 돈만 날린 채 어느덧 저 멀리 사라져 버리고 만다. 야심 차게 준비했던 운동화, 운동복, 각종 운동 물품들만 집 어딘가에 처박혀 먼지만 쌓이는 ‘안타까운 결말’이 매해 1월이면 반복된다. 이런 새해 결심과 관련한 비극적 결말의 반복적인 굴레에 빠진 분들을 위한 ‘맞춤 웹툰’이 있으니, 네이버웹툰에서 2020년 11월부터 2022년 7월까지 매주 금요일 연재되다 완결된 ‘여성전용헬스장 진달래짐’(글·그림 유기)이란 작품이다.

구청 공무원 1년차 막내 주무관인 계나리는 직장 옆 가까운 곳의 옥탑방으로 이사한다. 그런데 알고 보니 집 바로 밑이 헬스장. 헬스장의 소음에 시달리던 계나리는 다시 이사를 가기 위해 전세금을 돌려 달라고 요구하나, 헬스장의 관장이자 집주인 진달래는 전세금을 이미 헬스장 리모델링에 사용해 버려서 전세금을 융통해 줄 수 없는 상황이다. 결국 진달래는 세입자인 계나리에게 3개월 동안 PT를 무료로 해 주겠다는 제안을 하게 되고, 계나리가 이를 받아들이면서 둘은 ‘한시적 합의’를 한다. ‘숨쉬기만이 운동 경험의 전부’였던 계나리에게 ‘운동으로 삶을 행복하게 만들어 주겠다’는 진달래의 선언과 함께 둘의 여정이 시작된다.

이 작품은 운동 초보 계나리가 운동을 습관처럼 자기 몸에 체화시키는 과정을 세심하게 보여 준다. 계나리는 그 과정에서 맨손 운동으로 체력을 올리고, 다이어트에 도전하고, 근육운동을 통해 자신감을 얻어 나간다. 물론 운동하는 모든 순간마다 계나리는 ‘내가 과연 할 수 있을까’ 고민한다. 그때마다 진달래는 그녀를 북돋워 주고, 가르치고, 용기를 주면서, 한 걸음씩 천천히 성장시켜 준다. 이렇듯 이 작품은, 누구나 한 번쯤은 경험해 보았을 운동 레벨업의 벽 앞에서 평범한 주인공이 좋은 지도자를 만나 자신 있게 변해 가는 모습을 섬세하고 전문적이며 흥미롭게 풀어낸다.

‘여성전용헬스장 진달래짐’에는 계나리 말고도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해 아기자기한 서사를 엮어 간다. 싱글맘 배지현, 제1형 당뇨병 환자 백설, 전업주부 이미화 등 운동을 통해 새로운 인생을 찾은 사람들의 이야기도 무척 의미 있다. “운동하면서 제 인생도 다시 일으켜 세웠죠. 코어를 단련해서 몸을 바로 세우는 것처럼요.” 배지현의 말처럼 작가는 인터뷰에서, 자신도 운동을 통해 인생이 달라졌으며, 그 좋았던 경험을 이 작품을 통해 여러 독자와 나누고 싶어서 작품을 시작했다고 했다.
백수진 한국만화영상진흥원 팀장
백수진 한국만화영상진흥원 팀장
운동에 관한 정확하고 유익한 정보, 거기에 내 곁에 있을 법한 친숙한 캐릭터들이 운동을 통해 삶을 레벨업시키는 재미까지 겸비한 이 작품은 단행본으로도 나와 있으니, 새해부터 운동하겠다는 다짐을 한 독자라면 꼭 한번 읽어 보라 권하고 싶다. ‘정보’와 ‘재미’라는 두 마리 토끼를 2023년 계묘년에 잡을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백수진 한국만화영상진흥원 팀장

2022-12-3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