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속 찰나의 순간에 보이는 풍경…윤영경 개인전 ‘비욘드’

일상 속 찰나의 순간에 보이는 풍경…윤영경 개인전 ‘비욘드’

남상인 기자
입력 2020-02-11 21:30
수정 2020-02-12 09: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윤영경_Beyond 14_천에 수묵_가변크기_2019
윤영경_Beyond 14_천에 수묵_가변크기_2019
동양화가 윤영경 씨의 개인전 ‘비욘드(Beyond)’가 다음달 6일까지 경기 과천시 스페이스K에서 열린다. 강렬한 준법과 대담한 규모의 한국화를 선보여왔던 그는 이번 개인전에서 기존의 작업방식을 선회해 다채로운 변화를 시도한다. 주변 풍경을 담아낸 한지 평면작업을 비롯해 삼베를 이용한 설치작업에 이르기까지 총 14점의 신작을 선보인다.

그동안 하늘에서 바라본 장엄한 자연 풍광을 주로 그려왔다면 이번 전시에서는 작가 자신의 주변 풍경에 주목한다. 일상 속의 산책로나 텅 빈 들판과 마른 담쟁이, 휴식을 취하는 새들의 모습과 같은 소소한 자연 풍경이 대상이다. 작가는 보기 위한 유랑이 아닌 일상 속 찰나의 순간에 보이는 풍경을 화폭에 담았다.
이미지 확대
윤영경_Beyond 01_한지에 수묵_108×150cm_2019
윤영경_Beyond 01_한지에 수묵_108×150cm_2019
특히 대상을 바라보는 시선의 이동에 따라 작법에도 변화가 생겼다. 순수한 한지 대신 삼베나 옻으로 물들인 채색이 가미된 한지를 사용했다. 고아한 분위기를 드러내 강렬한 필선 방식은 발묵과 담묵이 어우러지는 묵법을 시도하며 풍경 속에 자신의 감정을 녹여냈다.

또한 예의 전통 산수화에서 장엄하게 펼쳐진 산세를 표현하기 위해 두루마리에 그린 황권 형식을 활용해온 전작의 경향과 달리 화폭에도 변화가 엿보인다. 황권산수(橫卷山水)를 변주한 설치작업은 이번 전시에서 주목할 만하다. 삼베 위에 그려낸 다면화의 풍경이 천정에 걸려 펼쳐지는 설치작업은 파노라마처럼 마치 산속을 두루 둘러보듯 관람객의 시점을 입체화시킨다.

이번 전시를 통해 선보이는 산수 ‘비욘드’는 대상과 양식, 화법 등 다채로운 면에서 변화를 시도해 전통의 틀을 확장하고자 한다. 부제가 주지하듯 그 ‘너머’의 것을 담아내고자 하는 작가의 의지와 새로운 도전을 의미한다. 주변부와 미시적 풍경으로 시선을 돌려 그 너머에 존재하는 일상의 위대함을 드러내고자 하는 이번 전시에서 윤영경이 보고 느낀 일상의 기운생동을 느껴볼 수 있다.

남상인 기자 sangin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