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의 자유”vs“동료사정도 고려해야”

김포도시철도 김포공항역이 환승하는 시민들로 붐비고 있다. 이날 정부는 특별시와 광역시, 인구 50만명 이상의 대도시 지하철 역사의 다중밀집 인파사고 대책을 마련했다. 연합뉴스
최근 ‘일찍 출근하는 직원, 물 흐리는 걸까요?’라는 제목으로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글이 올라왔다.
글쓴이 A씨는 정규 출근 시간인 오전 9시보다 2시간 일찍 회사에 출근한다고 밝혔다.
해당 회사의 정규 근무 시간은 오전 9시에서 오후 6시까지였으나 2년 전부터 규정이 바뀌어,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만 무조건 근무하도록 했다.
하루 8시간만 채운다면 출퇴근 시간은 1~2시간 빨라지거나 늦어져도 무방하다고 했다.

지하철 9호선 최대혼잡 구간(가양∼신논현)에 셔틀형 급행열차가 투입돼 서울 강서구 가양역에서 출근길에 오른 시민들이 열차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이어 “그런데 제가 없을 때 팀장님이 저를 언급했다고 한다”며 팀장이 동료들에게 ‘야근해서 수당을 챙겨갈 생각하지 말고 A씨처럼 일찍 나와서 일을 끝내라’고 지시했다더라“고 말했다.
팀장의 칭찬에 A씨는 동료 사이에서 민폐를 끼치는 사람이 돼 버렸고, 급기야 한 직원으로부터 한소리를 들었다.
A씨는 ”동료에게 ‘팀 분위기 흐리지 말라’는 말을 듣고 결국 회사 건너편 스타벅스에서 아침을 먹으면서 시간을 보내고 있다“며 ”차 막히는 건 싫기 때문이다. 이런 생활이 며칠째 계속되니까 억울하다“고 호소했다.
또 그는 ”일찍 출근하면 다른 팀원들이 지각할 것 같을 때 자리에 가방도 놔주고 회의 준비도 도와줬는데 그렇게 물을 흐리는 짓이었을까“라고 되물었다.
네티즌들은 ”동료들에게 피해가 가는 행동“와 ”업무에 지장만 없으면 개인 자유“라는 의견이 갈렸다.

경기도 성남시의 한 버스정류장에서 운행 중인 버스에 빈자리 ‘0’이 표시되어 있다. 연합뉴스
직원 자율성 극대화…직장인들 환영하는 ‘유연근무제’국내 각 기업에서 ‘자율과 책임’이란 원칙 하에 자유로운 근무 환경을 조성해가고 있다.
오전 7시~11시 자유롭게 출근, 하루 최소 6시간에서 최대 12시간 근무할 수 있다.
주 40시간 근무를 충족하면 금요일 오후엔 자율적으로 퇴근할 수 있다. 반반차(2시간 단위 휴가)를 사용해 병원 등 급한 개인 업무를 처리할 수도 있다.
유연근무제가 도입되고, 직장인들도 대부분 환영하는 분위기다. 다만 위 사례처럼 회사 분위기에 따라 차이는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최근 코로나19 엔데믹 시대에 직장인들은 하이브리드 근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가 지난해 직장인 398명을 대상으로 희망 근무 형태를 조사한 결과 ‘하이브리드형 근무’가 1위(67.3%)를 차지했다.
해당 근무 형태를 선택한 응답자들이 선호하는 출근 일수는 주3일(47.4%) 주2일(25.7%) 순이었다.
하이브리드형 근무를 선호한다는 30대 직장인 B씨는 ”재택근무와 사무실 출근의 장점을 상황에 맞게 할 수 있어 업무 효율성이 높다고 본다“고 했다.
업계 관계자는 ”‘일하는 시간’으로 한정치 않으면서 ‘일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계기가 됐다“며 ”생산성보다 창의성을 더 중시 여기는 기업은 창의성 제고를 더욱 꾀할 수 있는 근무제를 선택하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