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덕의 대서울 이야기]
지난 달, 핀란드의 헬싱키 대학에서 서울에 대해 강연했다. 인구 63만명의 헬싱키 시민들에게 인구 2500만명의 수도권, 즉 대서울에 대해 설명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서울시 송파구의 2010년도 인구가 64만명이니, 송파구 규모의 도시가 고민하는 문제와 서울시-대서울이 고민하는 문제는 전혀 다르다는 사실을 절감했다. 그런 한편, 헬싱키 대학에서 한국학을 가르치는 앤듀 로기 선생과 함께 일주일간 헬싱키 시내 및 교외 지역을 찬찬히 살피면서 두 도시 사이의 몇 가지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한편 헤이몰란 탈로라는 이름의 건물도 서울의 조선총독부-중앙청-국립중앙박물관 건물과 비슷한 운명을 맞았다. 1910년에 완공된 헤이몰란 탈로는 1911~31년에 국회의사당으로 쓰였고, 1917년 12월 6일에는 이곳에서 독립선언서가 서명되었다. 핀란드의 건국을 상징하는 이 건물은 1969년의 어느 밤에 몰래 헐렸다. 혹시라도 보존운동이 일어날까 두려워해서 하룻밤 사이에 헐어버렸다고 하며, 이 사건에 충격을 받은 핀란드 시민들은 그 뒤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건물을 보존하게 되었다고 한다.
서울의 조선총독부-중앙청-국립중앙박물관 건물은 1926년에 완공되어 45년까지 20년간 일본의 한반도 지배 거점으로 이용되었다. 경복궁 일부를 헐고 세워진 탓에 보존하기에는 위치가 너무 나빴다. 다만 아쉬운 것은, 헤이몰란 탈로와 마찬가지로 이 총독부 건물에서 1948년 5월 10일에 제헌국회가 열렸고, 1950년 9월 28일의 서울 수복 때에도 이 건물에 태극기가 휘날렸다. 그리고 1995년에 철거될 때까지 중앙청 및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쓰여 역사의 일부였다. 식민지 시대 20년이지만 현대 한국에서 50년이나 썼다.

글 사진: 김시덕 서울대 규장각 교수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