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신라가 일본에 조공을 바쳤다’는 등의 왜곡된 내용이 기술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9일 동북아역사재단에 따르면 서보경 고려대 동아시아문화교류연구소 연구교수는 2015년 검정을 통과한 일본 중학교 역사 교과서 8종의 고대 한·일 관계와 관련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일부 교과서에 “신라가 일본에 ‘임나’(任那·일본이 가야 지역을 이르는 말)의 산물을 보냈다”는 등 잘못된 서술이 추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일본 학계에서 이미 폐기된 학설로 여겨지는 ‘임나일본부설’(일본이 고대 한반도 가야 지역에 임나일본부라는 기관을 두고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는 설)을 여전히 공개적으로 주장하고 있는 셈이다.
서 연구교수는 “‘신라가 일본에 임나의 산물을 보냈다’는 것은 ‘신라가 임나의 산물을 일본에 공납했다’는 의미”라며 “이는 가야에 대한 왜 왕권의 왜곡된 지배 논리를 드러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9일 동북아역사재단에 따르면 서보경 고려대 동아시아문화교류연구소 연구교수는 2015년 검정을 통과한 일본 중학교 역사 교과서 8종의 고대 한·일 관계와 관련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일부 교과서에 “신라가 일본에 ‘임나’(任那·일본이 가야 지역을 이르는 말)의 산물을 보냈다”는 등 잘못된 서술이 추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일본 학계에서 이미 폐기된 학설로 여겨지는 ‘임나일본부설’(일본이 고대 한반도 가야 지역에 임나일본부라는 기관을 두고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는 설)을 여전히 공개적으로 주장하고 있는 셈이다.
서 연구교수는 “‘신라가 일본에 임나의 산물을 보냈다’는 것은 ‘신라가 임나의 산물을 일본에 공납했다’는 의미”라며 “이는 가야에 대한 왜 왕권의 왜곡된 지배 논리를 드러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6-05-10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