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만에 ‘제2 샤를리 테러’ 충격
프랑스 주간지 샤를리 에브도 테러 한 달 만에 덴마크에서 표현의 자유를 둘러싼 연쇄 테러 사건이 발생해 유럽이 또다시 충격에 빠졌다. 평온해야 할 주말, 수도 코펜하겐에서 특정 풍자 만평가를 겨냥한 총격을 포함해 모두 세 차례 총격전이 벌어져 용의자를 포함해 3명이 죽고 5명이 다쳤다. 유럽은 지난달 7일 발생한 프랑스 주간지 테러와 닮았다는 점에 경악했다.
코펜하겐 AFP 연합뉴스
제2 샤를리 테러… 덴마크서 세 차례 연쇄 총격 3명 사망
14일(현지시간) 덴마크 수도 코펜하겐에서 ‘샤를리 에브도 테러’와 유사한 성격의 연쇄 총격 테러가 발생해 유럽이 충격에 빠진 가운데 이날 오후 코펜하겐 경찰 감식반 관계자들이 첫 번째 총격 장소인 크루트퇸덴 문화센터의 사건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이슬람과 표현의 자유 관련 토론회가 열릴 예정이었던 이곳에 200여발의 총격이 가해졌으며 창문 곳곳에 총알이 뚫고 지나간 흔적이 선명하게 남아 있다. 범인은 이날 행사의 강연자로 이슬람 창시자 무함마드 풍자 만평으로 유명한 스웨덴 출신 만평 작가를 겨냥한 것으로 알려졌다. 세 차례의 총격으로 용의자 1명을 포함한 3명이 숨지고 5명이 다쳤다.
코펜하겐 AFP 연합뉴스
코펜하겐 AFP 연합뉴스

코펜하겐 AFP 연합뉴스
현지 경찰, 범인 사살… “세 차례 총격 용의자 동일 인물”
덴마크 경찰이 14일(현지시간) 표현의 자유 관련 토론회가 열릴 예정이었던 코펜하겐 크루트퇸덴 문화센터에서 무차별 총기 난사 사건을 벌인 용의자를 공개했다.
코펜하겐 AFP 연합뉴스
코펜하겐 AFP 연합뉴스

코펜하겐 AFP 연합뉴스
15일 목숨을 잃은 두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해 크루트퇸덴 문화센터를 찾은 한 코펜하겐 시민이 흐르는 눈물을 닦으며 총탄 자국이 여전히 선명하게 남은 사건 현장을 원망스러운 듯 쳐다보고 있다.
코펜하겐 AFP 연합뉴스
코펜하겐 AFP 연합뉴스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14일 오후 4시(현지시간) 한 괴한이 코펜하겐 크루트퇸덴 문화센터에 총기를 난사해 영화감독 핀 노르가드(55)가 숨지고 경찰 3명이 다쳤다. 이곳에선 ‘예술, 신성모독, 그리고 표현의 자유’를 주제로 한 토론회가 열릴 예정이었다. 인디펜던트는 “범인이 200여발의 총알을 마구 쏘아 대 사건 현장에서 30~40발씩 총알이 박혀 있는 건물 벽면을 지금도 찾아볼 수 있다”고 전했다. 범인은 검은색 폴로 차량을 타고 문화센터에 접근해 창문 사이로 총격을 가한 뒤 도주했었다.
10시간쯤 후인 15일 새벽 2시에는 인근 유대교 회당에서 두 번째 총성이 울렸다. 회당 출입을 통제하던 유대인 남성 1명이 숨졌다. 곧이어 시내 노레브로 지역에서 세 번째 총격전이 벌어졌다. 경계근무 중이던 경찰이 수상하게 행동하는 이를 제지하자 경찰에 총격을 가했다. 경찰은 이 사람을 현장에서 사살했다. 코펜하겐 경찰은 “사살된 사람이 이전 두 차례의 총격전을 벌인 용의자와 동일 인물인 것으로 보인다”며 “단독 범행으로 보이지만 이슬람 극단주의 ‘이슬람국가’(IS)와의 연계 가능성 등을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총격은 만평가 겸 현대예술가인 이날 강연자 라르스 빌크스를 겨냥한 테러로 보인다. 그는 2007년 이슬람 창시자 무함마드를 개로 묘사한 만평으로 무슬림의 공분을 산 이래 숱한 테러 위협에 시달려 왔다. 이날 행사는 샤를리 에브도 테러를 계기로 열린 것으로 프랑수아 지메레이 덴마크 주재 프랑스 대사도 덴마크에 감사의 뜻을 나타내기 위해 참석했다. 지메레이 대사는 “자전거를 타고 참석했다가 방탄차를 타고 나왔다”면서 “총격이 20초간 이어질 때는 시간이 영원처럼 길게 느껴졌다”고 말했다.
샤를리 에브도 사건 이후 유독 덴마크에서 테러 우려가 고조됐다. 최근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이 덴마크에 주목해 왔기 때문이다. 덴마크는 IS 공습에 전투기를 파견하는 등 미국의 대IS전에 적극 협조하고 있으며 시리아 난민을 후원하고 이슬람 출신 이민자가 몰려들면서 내부 갈등도 커져 왔다. 또한 덴마크는 무함마드 풍자 만평이 처음 공개돼 유럽과 아랍권에 비난 시위와 표현의 자유 논란을 촉발시킨 곳이기도 하다. 2005년 덴마크 일간지 ‘윌란스 포스텐’은 무함마드 풍자 만평을 처음 게재해 이슬람 극단주의자들로부터 테러 위협을 받아 왔다.
그럼에도 이번 사건의 희생자가 비교적 적었던 것은 샤를리 에브도 사건을 계기로 높아진 경각심 때문이다. CNN은 “행사장이나 동선 등이 철저히 안전 위주로 구성된 데다 참가자도 30여명 수준으로 제한됐다”며 “샤를리 에브도 사건 이후 덴마크 정보부 등은 빌크스를 포함해 위협받는 작가들에게 국제공항 수준의 보안을 적용해 왔다”고 전했다. 코펜하겐 보안정보국(PET) 관계자는 “용의자가 샤를리 에브도 테러와 전투적 이슬람 정치 선동에 고무됐을지 모른다”는 의견을 내놓았다고 AFP통신이 전했다. 사건 직후 이슬람 극단세력의 테러 위협 첩보로 독일 북부 니더작센주 브라운슈바이크시 당국은 야외 카니발 행진 행사를 전격 취소하기도 했다.
국제사회가 비난을 쏟아 내는 가운데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은 사건 직후 헬레 토르닝슈미트 덴마크 총리에게 전화를 걸어 “개탄스러운 사건”이라며 “프랑스는 이 시련 앞에서 덴마크와 연대한다”고 밝혔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5-02-16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