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무게 103kg” 푸바오 새 영상 올린 중국 판다센터

“몸무게 103kg” 푸바오 새 영상 올린 중국 판다센터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4-06-05 11:51
수정 2024-06-05 14: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중국 판다보전연구센터 웨이보
중국 판다보전연구센터 웨이보
푸바오와 관련해 논란이 불거진 중국 판다보전연구센터 측이 새로운 영상을 게시했다.

5일(현지시간) 중국 판다보전연구센터에 따르면 센터는 지난 4일 공식소셜미디어(SNS) 웨이보를 통해 ‘푸바오의 체중은 얼마?’라는 제목으로 26초 분량의 짧은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에서 사육사는 푸바오에게 간식을 주며 체중계에 오르도록 유도했고 푸바오는 간식을 받아먹으며 체중계에 오르는 모습이 담겼다.

해당 영상에 2024.06.04라는 자막을 넣은 센터 측은 푸바오의 몸무게가 103㎏이라고 알렸다. 사육사는 몸무게를 잰 후 푸바오의 배를 쓰다듬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본 중국 네티즌들은 “공주의 몸무게가 드러났다”, “푸바오는 너무 귀엽다” 등의 댓글을 남겼다.

한국을 떠나 중국에 도착한 지 두 달째가 된 푸바오는 막바지 적응 훈련에 한창이다. 지난 2일 센터가 공개한 영상에서 푸바오는 철제 우리(케이지)에 편안하게 앉아 대나무를 벗겨 쉴 새 없이 먹어 치웠고 사육사는 손을 넣어 푸바오를 쓰다듬었다. 철제 우리는 푸바오가 이동할 때나 대중과 만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센터 측은 “푸바오가 스트레스를 피하기 위해 케이지에 들어가 적응하는 훈련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비공개 접객 의혹과 탈모 등 푸바오가 열악한 대우를 받고 있다는 의혹에 휩싸이자 센터 측은 잇달아 영상을 공개하며 진화에 애쓰고 있다. 센터 측은 푸바오의 적응 상태가 점점 더 좋아지고 있으며 조만간 공개하겠다는 입장이다. 푸바오와 관련한 논란에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달 31일 “푸바오를 둘러싼 논란은 난공불락으로 여겨지던 중국의 소프트파워(판다 외교)를 위협하고 있다”라고 보도하기도 했다.

푸바오는 2016년 3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한중 친선 도모의 상징으로 보내온 판다 러바오와 아이바오 사이에서 2020년 7월 20일 태어났다. 그간 경기 용인 에버랜드에서 생활하면서 ‘용인 푸씨’나 ‘푸공주’, ‘푸뚠뚠’ 등 애칭으로 불리며 많은 사랑을 받았고 태어난 지 1354일 만인 지난 4월 3일 중국으로 돌아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