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2차 세계대전 당시 일제가 저지른 반인륜적 만행을 입증하는 일본 측 기록 원본들을 대거 외국 언론에 공개했다.
중국 외교부는 27일 지린성 창춘(長春)시에 있는 지린성 기록보관소에 자국 주재 외신기자 20여 명을 초청, 1930~40년대 중국 동북지역을 점령했던 일본 관동군 헌병대가 작성한 문서 87건과 일제가 세운 괴뢰정권인 만주국 중앙은행 문서 2건 등 총 89건의 기록물을 공개했다.
이날 공개된 내부 문서, 보고서, 규정, 조사표 등의 기록물은 대부분 지난 1월부터 중국 언론과 연합뉴스 등을 통해 그 내용이 전해진 것이지만 중국 당국이 수십 건에 달하는 일본 측 기록들을 원본과 함께 외국 언론에 직접 공개하고 촬영을 허용한 것은 이례적이다.
관동군 헌병대의 우편물 검열 결과를 담은 ‘우정검열월보’(郵政檢閱月報)’에는 “헤이룽장성 헤이허(黑河)에 설치된 일본군 위안소의 위안부 20명이 모두 조선인이며 (일본의) 국가총동원법에 묶여 온 것”이라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만주국 중앙은행의 전화통화기록에는 일본군이 1944년 12월∼1945년 3월 4차례에 걸쳐 공용자금을 군 위안부 ‘구매’ 항목에 지출했고 그 액수가 53만 2천 엔(당시 화폐단위)에 달했다는 내용이 있어 일제의 군 위안부 동원이 국가 차원에서 자행된 행위였음을 입증하고 있다.
관동군헌병대가 1936년부터 1945년 사이에 작성한 문서들에는 일본군이 생체실험으로 악명 높은 ‘731부대’로 조선인 이기수를 비롯해 중국인, 소련인 등 277명을 강제이송해 세균무기 개발의 도구로 이용한 정황이 기록돼 있다.
일본군 문서에는 731부대로 이송한 ‘범죄자’를 간첩(파괴분자)과 사상범(민족해방운동가 및 공산주의운동가) 두 종류로 구분하고 있어 일제가 독립투사 등을 범죄자로 몰아 생체실험 도구로 사용했음을 보여준다.
일본군이 1937년 12월부터 1938년 1월까지 6주간 장쑤성 난징(南京)을 공격한 뒤 난징의 인구가 100만 명에서 33만 5천 명으로 줄었다는 내용을 담은 일본군 화중(華中)파견헌병대 사령관의 보고서도 이번에 함께 공개됐다.
이 보고서에는 당시 안후이(安徽)성 우후(蕪湖)시에서 열흘 새 위안부 84명이 늘어났다면서 전체 109명 중 중국인은 25명이었고 조선인은 36명이었다고 기록돼 있다.
이들 기록물은 일제가 1945년 8월 패망 직후 만주국 수도였던 창춘에 있던 관동군 헌병대 사령부 지하에 묻고 달아난 것을 중국 당국이 1953년 발굴한 것들이다.
지린성 기록보관소는 당시 발굴한 10만여 건의 기록물에 대해 2012년부터 731부대, 군 위안부, 난징대학살 등 주제별로 총 14개 연구팀을 구성, 기록물 정리·연구사업을 벌이고 있다.
지린성 기록보관소 이날 외신기자들에게 1953년 발굴 당시의 일본군 기록물을 촬영하도록 허용하고 발굴 작업에 직업 참여했던 기록보관소 역사기록처 전 처장 자오쑤쥐안(趙素娟·81)에게 당시 상황을 외신기자들 앞에서 증언하게 했다.
무잔이(穆占一) 기록보관소 부소장은 “일본 우익세력이 역사적 사실을 부정하고 왜곡하는 상황에서 최근 몇 년간 정리·연구한 성과를 공개해 진상을 밝히려는 것”이라며 “이번에 공개한 것은 빙산의 일각이며 앞으로 일본 측 기록물에 대한 연구를 가속해 성과를 지속적으로 외부에 알리겠다”고 말했다.
외신기자단은 이날 지린성 기록보관소 방문에 이어 만주국 황궁 유적 내 박물관인 동북함락사진열관을 참관했다.
중국 외교부는 29일에는 헤이룽장성 하얼빈역에 지난 1월 문을 연 안중근 의사 기념관과 일제의 잔학성을 상징하는 하얼빈 ‘731부대’ 유적으로 외신기자단을 안내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중국 외교부는 27일 지린성 창춘(長春)시에 있는 지린성 기록보관소에 자국 주재 외신기자 20여 명을 초청, 1930~40년대 중국 동북지역을 점령했던 일본 관동군 헌병대가 작성한 문서 87건과 일제가 세운 괴뢰정권인 만주국 중앙은행 문서 2건 등 총 89건의 기록물을 공개했다.
이날 공개된 내부 문서, 보고서, 규정, 조사표 등의 기록물은 대부분 지난 1월부터 중국 언론과 연합뉴스 등을 통해 그 내용이 전해진 것이지만 중국 당국이 수십 건에 달하는 일본 측 기록들을 원본과 함께 외국 언론에 직접 공개하고 촬영을 허용한 것은 이례적이다.
관동군 헌병대의 우편물 검열 결과를 담은 ‘우정검열월보’(郵政檢閱月報)’에는 “헤이룽장성 헤이허(黑河)에 설치된 일본군 위안소의 위안부 20명이 모두 조선인이며 (일본의) 국가총동원법에 묶여 온 것”이라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만주국 중앙은행의 전화통화기록에는 일본군이 1944년 12월∼1945년 3월 4차례에 걸쳐 공용자금을 군 위안부 ‘구매’ 항목에 지출했고 그 액수가 53만 2천 엔(당시 화폐단위)에 달했다는 내용이 있어 일제의 군 위안부 동원이 국가 차원에서 자행된 행위였음을 입증하고 있다.
관동군헌병대가 1936년부터 1945년 사이에 작성한 문서들에는 일본군이 생체실험으로 악명 높은 ‘731부대’로 조선인 이기수를 비롯해 중국인, 소련인 등 277명을 강제이송해 세균무기 개발의 도구로 이용한 정황이 기록돼 있다.
일본군 문서에는 731부대로 이송한 ‘범죄자’를 간첩(파괴분자)과 사상범(민족해방운동가 및 공산주의운동가) 두 종류로 구분하고 있어 일제가 독립투사 등을 범죄자로 몰아 생체실험 도구로 사용했음을 보여준다.
일본군이 1937년 12월부터 1938년 1월까지 6주간 장쑤성 난징(南京)을 공격한 뒤 난징의 인구가 100만 명에서 33만 5천 명으로 줄었다는 내용을 담은 일본군 화중(華中)파견헌병대 사령관의 보고서도 이번에 함께 공개됐다.
이 보고서에는 당시 안후이(安徽)성 우후(蕪湖)시에서 열흘 새 위안부 84명이 늘어났다면서 전체 109명 중 중국인은 25명이었고 조선인은 36명이었다고 기록돼 있다.
이들 기록물은 일제가 1945년 8월 패망 직후 만주국 수도였던 창춘에 있던 관동군 헌병대 사령부 지하에 묻고 달아난 것을 중국 당국이 1953년 발굴한 것들이다.
지린성 기록보관소는 당시 발굴한 10만여 건의 기록물에 대해 2012년부터 731부대, 군 위안부, 난징대학살 등 주제별로 총 14개 연구팀을 구성, 기록물 정리·연구사업을 벌이고 있다.
지린성 기록보관소 이날 외신기자들에게 1953년 발굴 당시의 일본군 기록물을 촬영하도록 허용하고 발굴 작업에 직업 참여했던 기록보관소 역사기록처 전 처장 자오쑤쥐안(趙素娟·81)에게 당시 상황을 외신기자들 앞에서 증언하게 했다.
무잔이(穆占一) 기록보관소 부소장은 “일본 우익세력이 역사적 사실을 부정하고 왜곡하는 상황에서 최근 몇 년간 정리·연구한 성과를 공개해 진상을 밝히려는 것”이라며 “이번에 공개한 것은 빙산의 일각이며 앞으로 일본 측 기록물에 대한 연구를 가속해 성과를 지속적으로 외부에 알리겠다”고 말했다.
외신기자단은 이날 지린성 기록보관소 방문에 이어 만주국 황궁 유적 내 박물관인 동북함락사진열관을 참관했다.
중국 외교부는 29일에는 헤이룽장성 하얼빈역에 지난 1월 문을 연 안중근 의사 기념관과 일제의 잔학성을 상징하는 하얼빈 ‘731부대’ 유적으로 외신기자단을 안내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