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보안 전문가, 엔진 작동까지 조종
미국인 해커가 와이파이 등 기내 통신망을 이용해 여객기 운항을 좌지우지했다고 미 연방수사국(FBI)이 공식 확인했다. 무려 20차례나 이어진 해킹으로 운항 관리 시스템과 관제탑의 송수신 내역이 노출됐고, 이 해커는 비행기 엔진 작동까지 조종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커는 덴버의 한 보안업체인 원월드랩스에서 근무하는 크리스 로버츠라는 보안 전문가였다. 법원 영장 기록에 따르면 로버츠는 보잉737기와 757기, 에어버스320 등 구형과 최신 기종을 가리지 않고 해킹에 나섰다. 지난 4월 뉴욕 시러큐스 상공에 떠 있던 유나이티드항공 소속의 여객기에선 여러 개의 엔진 가운데 하나를 상승모드로 바꿔 여객기가 중심을 잃고 옆으로 기울게 만들었다.
방법은 간단했다. 우선 기내 좌석 아래에 있는 전자박스에 접속한 뒤 이를 자신의 노트북에 연결했다. 이를 통해 엔터테인먼트(IFE) 시스템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로 접속해 순식간에 비행기를 장악했다. 최근 항공사들이 인터넷 기반 네트워크 사용을 늘리면서 기내 와이파이 등을 통해 시스템을 공유한다는 사실을 알고 무선 통신망을 통한 해킹도 시도했다.
해킹 행각은 로버츠가 자랑 삼아 트위터에 글을 올렸다가 꼬리가 잡혔다. 그는 해킹으로 기내 산소마스크까지 작동시킬 수 있다고 했다. 구속된 로버츠는 FBI 수사관에게 “여객기 보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해킹을 시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번 사건으로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화됐다는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보안 전문가들은 이미 수년 전부터 항공기가 해커의 목표가 될 수 있다고 경고해 왔다. 테러리스트가 기내에서 와이파이 시스템을 해킹해 비행기를 마음대로 조종할 수 있다는 얘기다. 현재 다수의 항공사는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조종사와 승객들이 사용하는 네트워크가 동일하다. 항공업계는 최근 비행 중 기내 전자기기 사용 규정을 크게 완화해 해킹 우려를 키우고 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5-05-1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