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보다 커피전문점 많은 중국판 스타벅스 직원들…“손 씻다 손이 갈라져”

미국보다 커피전문점 많은 중국판 스타벅스 직원들…“손 씻다 손이 갈라져”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3-12-13 17:23
수정 2023-12-13 17: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계에서 커피 전문점 가장 많은 나라로 중국이 미국 제치고 1위

이미지 확대
중국에서 가장 매장이 많은 루이싱 커피. 샤오홍수 캡처
중국에서 가장 매장이 많은 루이싱 커피. 샤오홍수 캡처
세계에서 커피전문점이 가장 많은 나라는 스타벅스를 세운 미국이 아니라 중국이 됐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12일(현지시간) 1971년 시애틀 파이크 플레이스 시장에서 생긴 스타벅스 1호점이 브랜드 커피 체인 열풍을 일으켰지만, 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브랜드 커피 매장이 가장 많은 국가로 자리매김했다고 전했다.

영국의 시장조사업체 월드커피포털은 11월 보고서에서 최근 1년 사이 중국에 들어선 커피숍이 58% 증가하면서 모두 4만 9691개 매장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반면 미국에서는 커피숍 증가율이 4%에 그쳐 전체 4만 62개에 머물렀다.

조사가 시작된 지 20년 만에 처음으로 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다 커피숍 보유국이 됐다.

중국의 커피숍 돌풍은 토종 브랜드가 주도했는데, 루이싱(瑞幸) 커피가 1년 사이 5059개 매장을 추가하며 설립 6년 만에 1만 3273개 매장을 보유한 1위 업체로 올라섰다.

전직 루이싱 커피 경영진이 2022년 세운 코티 커피는 6004개 매장을 추가해 전체 6061개를 보유하게 됐다.
이미지 확대
손등이 갈라진 루이싱 커피 직원들이 인터넷 소셜미디어에 올린 사진. 샤오홍수 캡처
손등이 갈라진 루이싱 커피 직원들이 인터넷 소셜미디어에 올린 사진. 샤오홍수 캡처
동아시아 전체로는 스타벅스가 매장 수 1위 자리를 지켰다. 스타벅스는 15개국에서 1223개 매장을 추가해 전체 1만 3524개를 보유했다.

1999년 중국에 첫 매장을 오픈한 스타벅스는 2023년 중국에 785개 매장을 열어 중국에만 모두 6806개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메가(Mega) 커피, 인도네시아의 토모로(Tomoro) 커피, 말레이시아의 주스(Zus) 커피 등 각국 토종 브랜드가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리며 스타벅스의 아성에 도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월드커피포털 관계자는 “동아시아 커피숍 시장이 중국의 놀라운 매장 확장에 따라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중국은 세계 커피 산업의 심장부로 올라섰다”고 말했다.

중국 현지 매체는 식품 위생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자국에서 루이싱 커피 직원들이 엄격한 손씻기 정책때문에 손등이 트거나 갈라지는 일이 잦다고 보도했다.
이미지 확대
손등이 갈라진 루이싱 커피 직원들이 인터넷 소셜미디어에 올린 사진. 샤오홍수 캡처
손등이 갈라진 루이싱 커피 직원들이 인터넷 소셜미디어에 올린 사진. 샤오홍수 캡처
현지 언론 신완보에 따르면 루이싱 커피 매장 직원은 8시간 근무로 계산하면 최소 8회 손 씻기, 걸레 22회 세탁, 소독제 22회 사용을 지켜야만 한다. 이 때문에 손이 갈라지고 피부가 벗겨지는 일이 있어 일부 직원들은 손이 아파 씻는 척만 하는 일도 있다고 덧붙였다.

광둥성 루친 루이싱 매장의 아르바이트생 샤오린은 “매시간 20초 동안 소독제로 손을 소독해야 했고, 씻을 때는 거품을 낸 다음 말려야 했다”면서 “쉴 때도 정각마다 손을 씻어야 했다”고 털어놨다.

상하이의 한 루이싱 매장에서 일한 직원도 자주 씻어야 했기 때문에 손이 갈라져서 입사 한 달쯤 만에 직장을 그만뒀다고 말했다.

루이싱 커피는 중국에 직영점 8807곳, 제휴 매장 4406곳이 있으며 직원은 정규직 1만 4599명, 시간제 1만 9045명이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