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분석 활용 무궁무진
다가오는 2016년 전 세계 싱글족의 새해 다짐 혹은 계획 중 하나는 좋은 인연을 만나 가정을 이루는 것이죠. 과학이 발달하면서 인연을 만날 수 있는 소개팅의 트렌드도 달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제는 직접 만나는 것이 아닌 침 한 방울, 머리카락 한 올만으로도 맞선이나 소개팅을 할 수 있게 됐으며, 더 나아가 자신과 잘 맞을 것으로 예상되는 배우자를 직접 찾을 수도 있습니다. 바로 DNA 기술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유튜브 캡처
머지않은 미래에는 자신이 원하는 특징을 가진 DNA를 검색하고 이 DNA를 가진 사람과 인연을 맺을 수 있는 기술이 보편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튜브 캡처
유튜브 캡처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 경영학석사 과정 학생으로 이뤄진 연구진이 온라인 만남 주선 사이트의 의뢰를 받아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2040년에는 자신이 원하는 특징을 가진 DNA를 검색하고 이 DNA를 가진 사람과 연인 또는 배우자의 인연을 맺을 수 있는 기술이 보편화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DNA 분석을 통해 특정 성향이나 성격 등을 미리 파악하고, 이렇게 만든 데이터를 프로그램에 대입해 원하는 혹은 적합한 짝을 찾는 시스템이 지금의 소개팅을 대체한다는 것이죠.
미국이나 영국 등지에서는 소개팅 시 DNA 분석 정보를 이용한 사례가 보고된 바 있지만, 이용자는 많지 않은 상황입니다. 외국의 만남 주선 업체 관계자들은 이러한 검사가 극히 일부의 DNA만 비교하기 때문에, 이것만으로는 자신과 잘 맞는 상대를 찾는 것이 어려울 것이라는 인식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과거보다 더욱 정밀한 ‘소개팅용’ DNA 검사가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예컨대 과거 몇몇 업체가 도입한 DNA 검사 항목이 성격이나 체질 등에 국한돼 있었다면, 이제는 노화와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텔로미어(유전자 끝을 감싸 세포를 보호하는 부위)의 길이를 측정하거나 특정 암을 유발하는 유전자 또는 폭력성을 가진 특정 유전자의 존재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 것이죠.
●英 DNA 분석비 12년새 906억원서 100만원대로
DNA 분석 비용도 점차 보편화가 가능한 수준으로 떨어지는 추세입니다. 위의 연구에 따르면 한 사람의 DNA를 분석하는 데 드는 비용은 2003년 영국 기준으로 5200만 파운드, 우리 돈으로 약 906억원에 달했지만 2015년 현재 100만원대 초반 선으로 뚝 떨어졌습니다. 여기에 DNA 분석 정보를 매칭하는 프로그램의 수준까지 갈수록 높아지면서 머지않은 미래에는 DNA 소개팅을 경험하는 싱글족이 많아질 것으로 예측됩니다.
다만 자신과 DNA가 유사한 사람과 만나는 것이 좋은지, 반대인 것이 좋은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합니다. 지난해 미국 콜로라도대학 연구진이 825명의 백인 커플을 대상으로 DNA에 들어 있는 170만개의 단일염기다형성(SNPs)을 조사한 결과 결혼하지 않은 커플보다 부부 간의 DNA 차이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대로 2009년 브라질 파라나대 연구진이 부부 90쌍과 커플 152쌍의 DNA를 분석한 결과 도리어 부부의 DNA 구조에서 더 큰 차이점이 발견됐습니다.
●15년 전 국내도 서비스 소개… 문화 차이로 시들
정확도나 정밀도 면에서는 현재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수준이지만, 15년 전 국내에도 이 서비스가 소개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외국과 마찬가지로 DNA 소개팅을 실제로 경험한 사례를 찾아보기 힘든 것은 한국 특유의 문화적 배경 때문으로 보입니다. 한국 사회는 결혼을 집안과 집안의 결합으로 여기는 관념이 짙었고, 결혼하는 데 배우자가 될 사람의 배경을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로 인식했습니다. 즉 결혼 당사자들의 특성보다는 주변과 배경이 더욱 중시돼 온 문화에서 개인적 성향을 중시하는 DNA 소개팅은 쉽게 자리잡기 어려웠던 것이죠.
●유전자 차별 우려 목소리도 높아
DNA 소개팅은 더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결혼의 실패 확률이 낮은 배우자를 찾는 데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지만, 일각에서는 ‘유전자 차별’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습니다. 영화 ‘가타카’(1997)는 부모의 자연 임신을 통해 세상에 나온 아이들이 특정 유전자를 조합해 ‘만들어진’ 아이들에 비해 차별받는 미래 세상을 그렸는데, DNA 소개팅이 보편화될 경우 이러한 유전자 차별이 더이상 영화 속 이야기가 아닐 수 있다는 겁니다.
DNA 소개팅의 장점도 분명하지만, 누군가에 대한 특별한 감정은 타고난 DNA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닙니다. DNA 궁합이 잘 맞는다고 해서 노력도 없이 결혼생활을 이어 갈 수 있는 것 역시 아닙니다. 미래에는 DNA 소개팅의 순기능만이 발현될 수 있길 기대해 봅니다.
huimin0217@seoul.co.kr
2015-12-26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