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숙박공유’업체 에어비앤비가 세금 1천200만 달러(136억 원)를 냈다고 자랑하는 광고를 내보냈다가 여론의 역풍을 맞고 광고물을 철거했다.
에어비앤비는 21일(현지시간) 샌프란시스코의 버스정류장 등 공공장소와 옥외 광고판에 “공공도서관 시스템에, 호텔세 1천200만 달러 중 일부를 늦게까지 도서관을 여는 데 쓰기 바랍니다”라는 문구가 실린 광고물을 붙였다.
‘공공도서관’ 대신 ‘주차단속팀’ 등 다른 기관들에게 서비스를 개선하라고 촉구하는 광고물도 있었다.
문제는 이 광고물이 샌프란시스코 시민들의 정서와 완전히 어긋났다는 점이다.
샌프란시스코의 부동산 임대료는 최근 수년간 매년 20% 가까이 폭등했으며, 이런 가운데 에어비앤비를 통해 사실상 숙박업을 하기 위해 부동산 재개발에 나서는 건물주들이 늘면서 가난한 사람들이 주거지에서 쫓겨나는 일이 잇따르고 있다.
게다가 에어비앤비는 2008년 설립된 후 숙박업체가 내야 할 세금도 부담하지 않고 있다가 검찰 수사를 받고 나서야 올해 2월에 부랴부랴 숙박료의 14%에 해당하는 세금 1천200만달러를 완납했다.
이런 상황에서 에어비앤비가 밀린 세금을 낸 것이 마치 대단한 사회 공헌이라도 되는 것처럼 훈계하는 인상을 풍기는 광고를 내자 많은 시민들이 화를 냈다.
마사 케니 샌프란시스코주립대 여성학과 교수는 페이스북 게시물에서 “에어비앤비에, 올해는 세금을 냈다니 기쁘네요. 나도 냈어요. 정말 대단하죠?”라며 상세한 계산 과정을 제시하면서 에어비앤비가 낸 세금으로는 도서관 운영 시간을 1∼2분 늘리는 것이 고작이라고 지적했다.
여론의 역풍이 거센 것을 깨달은 에어비앤비는 광고를 붙인 다음 날인 22일 이를 철거했다.
브라이언 체스키 에어비앤비 최고경영자(CEO)와 조너선 밀덴홀 마케팅 책임자는 임직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시민들과 임직원들에게 실망을 줬다”며 사과했다.
체스키는 이 광고가 처음 부착됐을 때 사람들이 이것이 가짜라고 생각했다고 전하면서 이 광고는 회사의 기본 가치관과 어긋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에어비앤비는 21일(현지시간) 샌프란시스코의 버스정류장 등 공공장소와 옥외 광고판에 “공공도서관 시스템에, 호텔세 1천200만 달러 중 일부를 늦게까지 도서관을 여는 데 쓰기 바랍니다”라는 문구가 실린 광고물을 붙였다.
‘공공도서관’ 대신 ‘주차단속팀’ 등 다른 기관들에게 서비스를 개선하라고 촉구하는 광고물도 있었다.
문제는 이 광고물이 샌프란시스코 시민들의 정서와 완전히 어긋났다는 점이다.
샌프란시스코의 부동산 임대료는 최근 수년간 매년 20% 가까이 폭등했으며, 이런 가운데 에어비앤비를 통해 사실상 숙박업을 하기 위해 부동산 재개발에 나서는 건물주들이 늘면서 가난한 사람들이 주거지에서 쫓겨나는 일이 잇따르고 있다.
게다가 에어비앤비는 2008년 설립된 후 숙박업체가 내야 할 세금도 부담하지 않고 있다가 검찰 수사를 받고 나서야 올해 2월에 부랴부랴 숙박료의 14%에 해당하는 세금 1천200만달러를 완납했다.
이런 상황에서 에어비앤비가 밀린 세금을 낸 것이 마치 대단한 사회 공헌이라도 되는 것처럼 훈계하는 인상을 풍기는 광고를 내자 많은 시민들이 화를 냈다.
마사 케니 샌프란시스코주립대 여성학과 교수는 페이스북 게시물에서 “에어비앤비에, 올해는 세금을 냈다니 기쁘네요. 나도 냈어요. 정말 대단하죠?”라며 상세한 계산 과정을 제시하면서 에어비앤비가 낸 세금으로는 도서관 운영 시간을 1∼2분 늘리는 것이 고작이라고 지적했다.
여론의 역풍이 거센 것을 깨달은 에어비앤비는 광고를 붙인 다음 날인 22일 이를 철거했다.
브라이언 체스키 에어비앤비 최고경영자(CEO)와 조너선 밀덴홀 마케팅 책임자는 임직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시민들과 임직원들에게 실망을 줬다”며 사과했다.
체스키는 이 광고가 처음 부착됐을 때 사람들이 이것이 가짜라고 생각했다고 전하면서 이 광고는 회사의 기본 가치관과 어긋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