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의 세수 증가율이 5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지며 세수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러우지웨이(樓繼偉) 중국 재정부장은 27일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회의에서 올해 예산집행 상황을 보고하면서 지난 1∼7월 일반 공공예산수입이 편성예산의 60.8%인 9조3천849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보다 7.5% 늘어나는데 그쳤다고 밝혔다.
11개 정부성 기금을 예산수입에 산입하면 그 증가율은 5.4%으로 줄어든다.
이 기간 세수수입은 7조8천793억 위안으로 4.5% 늘어나는데 그쳤다. 증가율이 4.1% 포인트나 줄어들며 2010년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공업 부가가치세 세수가 ‘제로’ 성장을 했고 수입화물 부가가치세와 소비세가 14.7% 줄어들었으며 관세 수입도 11.4% 감소했다.
특히 지방의 재정수입이 31개 성 가운데 7개 성이 하락세를 보이는 등 지방재정의 악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세수 증가율이 저조해진 반면 지출은 상대적으로 크게 늘고 있다.
1∼7월간 중국의 일반 공공지출은 9조20억 위안으로 12.1% 늘었다. 이는 올해 편성예산의 52.5% 수준이다.
사회보험·취업 분야 지출이 21.4% 증가한 것을 비롯해 환경보호(19.3%), 보건의료 및 가족계획(19.2%), 교육(16.0%), 농림수산업(15.4%) 분야 지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러우 부장은 “올해 예산집행이 기본적으로 안정적이나 재정이 긴축적으로 운용되는 상황에서 일부 지방 재정수입이 줄어들고 있어 예산 균형을 맞추기가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러우지웨이(樓繼偉) 중국 재정부장은 27일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회의에서 올해 예산집행 상황을 보고하면서 지난 1∼7월 일반 공공예산수입이 편성예산의 60.8%인 9조3천849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보다 7.5% 늘어나는데 그쳤다고 밝혔다.
11개 정부성 기금을 예산수입에 산입하면 그 증가율은 5.4%으로 줄어든다.
이 기간 세수수입은 7조8천793억 위안으로 4.5% 늘어나는데 그쳤다. 증가율이 4.1% 포인트나 줄어들며 2010년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공업 부가가치세 세수가 ‘제로’ 성장을 했고 수입화물 부가가치세와 소비세가 14.7% 줄어들었으며 관세 수입도 11.4% 감소했다.
특히 지방의 재정수입이 31개 성 가운데 7개 성이 하락세를 보이는 등 지방재정의 악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세수 증가율이 저조해진 반면 지출은 상대적으로 크게 늘고 있다.
1∼7월간 중국의 일반 공공지출은 9조20억 위안으로 12.1% 늘었다. 이는 올해 편성예산의 52.5% 수준이다.
사회보험·취업 분야 지출이 21.4% 증가한 것을 비롯해 환경보호(19.3%), 보건의료 및 가족계획(19.2%), 교육(16.0%), 농림수산업(15.4%) 분야 지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러우 부장은 “올해 예산집행이 기본적으로 안정적이나 재정이 긴축적으로 운용되는 상황에서 일부 지방 재정수입이 줄어들고 있어 예산 균형을 맞추기가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