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오마베가 “시간 안남았다…아베, 군위안부에 사과하라”

팔레오마베가 “시간 안남았다…아베, 군위안부에 사과하라”

입력 2015-03-11 05:05
수정 2015-03-11 05: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정계를 은퇴한 에니 팔레오마베가(72) 전 미국 연방하원 의원이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를 향해 “군 위안부 생존자들에게 시간이 많이 남지 않았다”며 “지금이 바로 사과할 때”라고 지적했다.

2007년 미국 연방하원의 일본군 위안부 결의안(H.R. 121) 통과의 주역 중 하나인 팔레오마베가 전 의원은 이날 의회 전문지인 힐(The Hill)에 기고한 글에서 “아베 총리가 미국 의회 연설을 할 경우 2차 세계대전을 둘러싼 과거사 문제에 종지부를 찍는 게 마땅하고 적절하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팔레오마베가 전 의원은 “아베 총리가 연설하게 될 하원 본회의장은 바로 위안부 결의안이 통과된 장소”라며 “특히 미국이 일본으로부터 진주만 습격을 받은 다음 날인 1941년 12월8일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이 그 유명한 ‘치욕의 날’(a date which will live in infamy) 연설을 행했던 곳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아베 총리는 지난 1995년 (과거 침략행위와 식민지 지배 등을 사과한) 무라야마(村山) 담화를 재확약할 수 있다”며 “과거 루스벨트 대통령이 연설했던 곳에서 과거 침략행위에 대한 공식사과를 재확약하는 것은 미국 의회뿐만 아니라 미국인들, 위안부 생존자들, 그리고 아시아 주변국에 깊은 인상을 남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아베 총리는 이번 연설을 통해 위안부들을 상대로 행해진 역사적 인권유린 행위를 분명하고 명백한 방법으로 공식 인정하고 사과하고 역사적 책임을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라며 “전쟁포로 출신들을 비롯해 날이 갈수록 사라져가는 2차대전 참전용사들뿐만 아니라 여성인권 단체들과 한국계와 필리핀계, 대만계, 중국계 커뮤니티들이 매우 감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팔레오마베가 전 의원은 “진지한 사과는 정치지도자의 진정한 행위”라며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 할머니자 2013년 캘리포니아 글렌데일 시의 위안부 기림비 건립행사에서 ‘우리에게 시간이 많이 남지 않았다’고 말했다”며 “아베 총리는 지금이 사과할 때”라고 밝혔다.

그는 “위안부 할머니들은 위안부 결의안이 통과된 바로 그곳에서 아베 총리의 사과가 울림을 일으키기를 너무나 오래 기다려왔다”고 강조했다.

1998년부터 사모아 지역에서 의정활동을 해온 팔레오마베가 전 의원은 지난해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정계은퇴를 선언했다. 팔레오마베가 전 의원은 정계은퇴 직전인 지난해 12월 연방의회 의사록에 “26년간의 의정생활 가운데 가장 가슴에 와 닿았던 이슈는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부장관이 ‘강제 성노예’(enforced sex slaves)라고 표현한 위안부 문제”라고 썼다.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117년 만의 기록적 폭염 속에서 서울지하철 일부 역사가 체감온도 40도에 가까운 ‘찜통’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은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7월 22일부터 24일까지 서울지하철 각 호선 주요 역사 17개 역을 대상으로 오전 8시, 오후 3시, 오후 6시의 온도를 표본 측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옥수역의 경우 24일 오후 3시 39.3도, 오후 6시 38.1도를 기록하는 등 시민들은 ‘찜통역’을 경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2호선 성수역 또한 24일 오후 39도를 기록하는 등 매우 높은 온도를 기록했으며 조사한 3일간 오전 8시 온도 역시 30도를 넘겨 오후 기록보다는 낮지만, 서울지하철 기준온도(가동기준온도 29℃)보다 높은 것을 확인했다. 조사 결과, 지하역사인 아현역(최고 31.2도), 한성대입구역(최고 31.5도), 서울역(30.5도)도 조사 기간 내 오후뿐만 아니라 아침 시간대에도 이미 29~30도를 기록하여 시민들이 온종일 더위에 노출되고 있으며, 실제 체감온도는 측정치보다 훨씬 높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상역사에 비해 지하역사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지만, 밀폐 구조로 인해 공기가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