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러시아, 핵무기 경쟁시대로 회귀하나

미국-러시아, 핵무기 경쟁시대로 회귀하나

입력 2015-01-05 11:06
수정 2015-01-05 11: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가디언 “러 순항미사일 개발·잠수함 출몰에 美 대응 태세”

미국이 러시아의 새 순항 미사일 위협에 대응을 공언하면서 양국이 핵무기 경쟁시대로 회귀할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4일(현지시간) 미국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가 지난해 12월26일 레이더 탑재 비행선을 띄워 저고도 미사일을 감지하는 ‘JLENS’ 순항 미사일 포착 시스템을 위해 소형 비행선 한 대를 시험 비행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시험 비행은 찰스 제이코비 NORAD 사령관이 러시아 공격용 잠수함의 위협을 언급하며 잠수함에 탑재된 순항 미사일에 대한 대응에 “중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한 지 약 9개월 만이다.

미 국무부도 지난해 12월10일 의회에서 러시아가 새 중거리 순항 미사일을 배치할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같은 자리에서 브라이언 맥키언 미 국방부 부차관은 국방부가 비슷한 성능의 미사일을 유럽에 배치하는 방안을 포함해 다양한 대응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 당국은 러시아가 1987년 양국이 체결한 중거리핵미사일폐기(INF) 조약이 금지한 사거리 500~5천500km의 새로운 중거리 순항 미사일을 개발해 실전 배치를 앞둔 것으로 보고 있다.

당국은 정확히 밝히지 않고 있으나 신형 미사일은 ‘이스칸데르-K’(Iskander-K)로 알려졌으며 만약 미국이 이에 대응해 유럽에 순항 미사일 배치할 경우 이는 23년 만의 재배치가 된다고 가디언이 전했다.

최근 러시아는 개별 조종이 가능한 핵탄두를 10개까지 탑재할 수 있는 신형 잠수함 발사 대륙간 탄도미사일(SLBM) ‘불라바’를 개발해 시험 중이다. 또 핵무기 현대화 작업을 하며 냉전 시대 썼던 핵미사일 수송 열차까지 지난달 부활시켰다.

여기에 러시아 잠수함들이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는 순항 미사일을 싣고 대서양 건너 미국 동부 해안에 주기적으로 나타나면서 미 당국 내에서 러시아의 위협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핵무기와 순항 미사일 탑재 잠수함 등 비대칭 전력에 방점을 두는 것은 전력상 우위에 있는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군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동시에 우크라이나 사태 등에서 운신의 폭을 늘리려는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핸스 크리스튼슨 미국 과학자협회(FAS) 산하 핵 정보 프로젝트 소장은 “(미국과 러시아의) 군비 경쟁이 깊어지고 있다”며 이는 안보에 도움이 되기보다는 오히려 양측을 더 불안하게 만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재진 서울시의원, 한부모가정 주거개선사업 현장서 따뜻한 연대 강조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김재진 의원(국민의힘, 영등포1)이 지난 28일 영등포구에 있는 한부모가정 주거환경개선사업 대상지 현장을 찾았다. 이 자리는 서울시의회와 HDC현대산업개발, 한국해비타트가 체결한 3자 업무협약에 따라 추진되는 ‘2025년 한부모가정 주거환경개선사업’의 대표사업장 헌정식으로,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김재진 시의원, HDC현대산업개발 소통실장, 한국해비타트 사무총장 등 서울시의회와 민간 협력 주체가 함께 참석해,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민·관 협력의 의지를 다졌다. 김 의원은 사업 진행 현황을 보고받고, 실제 개선 주택을 둘러보며 사업의 의미와 성과를 직접 확인했다. 그는 특히 “복지정책은 책상이 아닌 현장에서, 사람들과 마주보며 완성되는 것”이라며 “이번 사업이 단순한 주거개선에 그치지 않고, 한부모가정의 삶의 질 전반을 높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날 감사인사와 함께 김 의원은 대표사업장 현판 제막 및 기념 촬영에도 참석하며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응원했다. 이어 “공공의 복지정책이 좀 더 섬세하고 촘촘해지기 위해서는 민간의 따뜻한 손길과 공공의 체계적 지원이 맞물려야 한다. 이번 협력사업이 다양한 취약계층에
thumbnail - 김재진 서울시의원, 한부모가정 주거개선사업 현장서 따뜻한 연대 강조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