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신임 유엔주재 이란대사 입국 거부 법안 서명

오바마, 신임 유엔주재 이란대사 입국 거부 법안 서명

입력 2014-04-19 00:00
수정 2014-04-19 11: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새 유엔 주재 이란 대사의 입국을 막는 새 법안에 서명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이날 서명한 법안(S.2195 개정법)은 유엔 대사 가운데 테러나 스파이 활동과 관련돼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대통령이 판단하는 인물에 대해 미국 입국 비자 발급을 거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골자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오바마 대통령은 법안 서명과 함께 발표한 성명에서 “미국과 우방을 상대로 한 스파이·테러 행위는 의문의 여지 없이 중차대한 문제”라며 “이런 활동에 연루된 인물이 외교를 구실 삼아 미국에 접근할 수 있다는 의회의 우려에 공감한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각국 대사들을 받아들이거나 거부하는 것과 관련한 대통령의 헌법상 재량권이 축소돼서는 안된다”면서 “이 재량권이 침해될 수 있는 상황에서는 해당 조항을 권고(advisory) 사항으로 다루겠다”고 덧붙였다.

미국 대통령은 보통 새로 서명한 법안의 일부가 헌법에 맞지 않을 경우 서명과 함께 성명을 내고 해당 내용을 상황에 맞춰 시행하다는 방침 등을 밝힌다고 AP통신은 설명했다.

이번 법안은 1979년 11월 이란 주재 미국 대사관 점거 사건을 주도한 ‘무슬림학생연맹’ 일원이었던 하미드 아부탈레비가 신임 유엔 주재 이란대사로 임명된 것을 계기로 발의됐다.

당시 미국이 팔레비 전 이란 국왕의 망명을 허용하자 과격파 이슬람 학생들은 미국 대사관을 점거, 외교관 등 52명을 인질로 잡고 444일간 인질극을 벌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양국 외교관계가 단절됐다.

하산 로하니 대통령의 측근으로 베테랑 외교관인 아부탈레비는 자신이 대사관 점거의 주동자가 아니라 단순한 통역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미국 상·하원은 아부탈레비에 대한 비자 발급 거부를 뒷받침하는 이번 개정법을 잇따라 통과시켰다.

미국 정부도 지난 8일 이란에 아부탈레비 대사 임명을 수용할 수 없다고 공식 통보한 데에 이어 11일에는 그의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했다. 이에 이란은 유엔에 개입을 요청하는 등 양국간 외교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왕정순 서울시의원, 중국 한중시 ‘문화경제무역협력 설명회’ 참석

서울시의회 왕정순 의원(더불어민주당, 관악구)은 지난 11일 앰배서더 풀만 호텔 남산홀에서 열린 ‘2025 중국(한중)-한국 문화경제무역협력 설명회’에 참석하여 축사를 전했다. 이번 설명회는 한중도시우호협회와 중국 섬서성 한중시 인민정부의 주최로 진행됐다. 이번 행사는 중국 섬서성 한중시와 대한민국의 경제무역 및 생태문화 협력을 강화하고, 양측의 교류와 발전을 추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올해는 한중 양국이 수교를 맺은 지 33주년이 되는 해로, 그 의미를 더했다. 행사에는 한중시 왕건평 시장, 주한중국대사관 경제상무처 란더얜 참사관 등 중국 측 귀빈과 권기식 한중도시우호협회 회장, 사영성 한국중화총상회 부회장 등 한국 측 귀빈이 참석했다. 왕 의원은 축사를 통해 “한중 양국이 수교를 맺은 지 33주년이 되는 올해 개최되는 행사이기에 그 의미가 더욱 뜻깊다”라며 “양국은 30년이 넘는 세월 동안 꾸준히 경제적 협력을 지속해 오며 서로에게 매우 중요한 경제무역 파트너로 자리잡았다”고 평가했다. 특히 “지난 2024년 양국 간 교역액이 3280억 8000만달러를 기록했으며, 중국은 21년 연속 한국의 최대 무역상대국이 되었고, 한국도 중국의 2대 무역상대
thumbnail - 왕정순 서울시의원, 중국 한중시 ‘문화경제무역협력 설명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