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원전 안전한가…유사시 한국 영향은

中원전 안전한가…유사시 한국 영향은

입력 2011-03-18 00:00
수정 2011-03-18 17: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계 최고의 안전도를 자랑하던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에 발생한 폭발 사고를 계기로 ‘원전 대국’으로 성장해가는 중국의 원전 안전성에도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

동북아시아 지역이 동쪽으로 바람이 부는 편서풍 지대에 속한 탓에 만의 하나 중국에서 원전 사고가 발생한다면 한국이 방사능 오염에 직접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

매년 봄이면 중국의 사막지역에서 발원한 불청객인 황사가 한반도를 뒤덮거나 중국 동부연안 공업지대의 오염물질이 한반도에서까지 관측되는 것과 같은 원리다.

한반도 동남쪽에 자리 잡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방사능 오염 물질은 편서풍을 타고 태평양으로 확산해 한국과 중국 등 서쪽에 있는 국가들은 일본과 지리적으로 가까우면서도 방사능 오염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었다.

그러나 중국에서 이와 비슷한 사고가 발생한다면 한반도와 일본은 가장 빨리, 가장 심각한 영향을 받게 된다.

게다가 중국의 원전은 한반도와 가까운 동부 연안에 몰려 있다.

1991년 원자력 발전을 시작한 중국은 현재 장쑤성 톈완(田灣), 저장성 친산(秦山), 광둥성 다야완(大亞灣)과 링아오(嶺澳)에서 모두 13기의 원전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가장 북쪽에 위치한 장쑤성 톈완 원전도 제주도보다 위도가 낮다.

그러나 향후 중국은 원전을 기하급수적으로 늘리는 가운데 한반도와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산둥성, 랴오닝성, 지린성 등지에도 원전을 설치할 계획이다.

현재 추가 건설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원전만 해도 랴오닝성, 장쑤성, 광둥성 등지의 26곳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밖에도 내륙의 안후이성, 허난성, 허베이성, 후난성, 후베이성, 충칭시, 쓰촨성, 간쑤성 등도 원전 설립을 검토하는 단계에 있다. 이렇게 건설이 추진되는 원전도 최소한 50여 곳이 넘는 것으로 파악된다.

중국의 원전과 관련해 가장 먼저 제기되는 우려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같은 대형 지진을 견뎌낼 수 있느냐는 것이다.

중국은 최근에만 2008년 쓰촨대지진과 2010년 위수대지진의 악몽을 경험하는 등 큰 지진 피해가 잦은 나라다.

이런 가운데 지진 위험 지역인 쓰촨성 등 지역에서조차 원전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은 국제사회의 우려를 자아내기 충분하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중국 특유의 ‘불투명성’도 중국 원전에 대한 우려를 낳게 한다.

작년 5월과 10월 다야완 원전에서 냉각수 강관 균열 등으로 인한 경미한 방사능 누출사고가 발생했으나 한달이 지난 뒤에야 언론을 통해 이 사실이 외부에 알려진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2008년에도 톈완 원전에서 변압기 폭발로 인한 화재가 발생해 원전 가동이 중단됐으나 이 소식도 한참 뒤에야 홍콩 언론을 통해서 세상에 알려졌다.

이 밖에도 2008년 국영기업인 중국핵공업집단공사(CNNC)의 캉르신 총경리가 원전 입찰과 관련해 무려 2억6천만달러 규모의 부패사건에 연루돼 낙마하는 등 중국의 고질적 부패 문제도 원전 안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와 더불어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원전이 늘어나면서 중국이 안전을 책임질 수 있는 기술 인력을 제대로 확보할 수 있느냐의 문제도 제기된다.

중국은 국제사회로부터 탄소배출 감축 압력을 강하게 받고 있어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낮춰야 하는데다 수력발전소 건설도 포화상태에 이르러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전력 수요를 원전으로밖에 댈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번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계기로 ‘원전 만능주의’에 빠져 있던 중국도 원전 안전문제에 진지하게 관심을 돌리려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중국 국무원은 17일 원자바오(溫家寶) 총리 주재로 일본 지진 관련 대책회의를 열고 원전 계획안에 대한 심사와 승인을 핵 안전 종합계획이 수립될 때까지 당분간 보류하기로 했다.

중국 내부에서 원전 ‘안전 신화’에 대한 회의론이 공개적으로 대두하는 것도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미묘한 정책 변화 움직임과 관련해 ‘풍향계’ 역할을 하는 인민일보사 계열의 환구시보는 15일 각 지방정부가 GDP 수치를 끌어올리는 업적쌓기 목적으로 원전을 앞다퉈 지으려는 경향이 있다며 핵발전소 난립 움직임에 제동을 걸어야 한다는 전문가의 칼럼을 게재해 눈길을 끌었다.

따라서 일각에서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를 교훈 삼아 중국이 맹목에 가까운 원전에 대한 신뢰를 접고 안전 문제를 전면 재검토하게 된 것은 한국에 장기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