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어의 눈물’ 줄어들까

‘상어의 눈물’ 줄어들까

입력 2010-12-23 00:00
수정 2010-12-23 00: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샥스핀(상어 지느러미) 요리를 찾는 호사가들의 입맛 때문에 씨가 말라가는 상어를 보호하기 위해 미 의회가 나섰다. 미국 상원은 21일(현지시간) 상어 지느러미 매매를 엄격히 규제하는 내용의 ‘상어 지느러미 거래 제한법’을 통과시켰다.

이미지 확대
법안은 상어 지느러미 매매 자체를 금지하지는 않았다. 대신 지느러미를 수입할 때는 몸통도 함께 있어야 한다는 조항을 포함했다. 이에 따라 미국 역내의 모든 어선은 지느러미가 붙어 있는 상태의 상어를 육지에 내려놓아야 하는 데다 선박은 몸통 없는 상어 지느러미만을 운송할 수 없게 됐다.

법안은 적용 지역도 기존의 대서양과 멕시코만에서 태평양으로까지 넓혔다. 지난 3월 카타르 도하에서 열렸던 ‘유엔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의 국제무역에 관한 협약(CITES)’ 총회에서는 홍살귀상어와 장완흉상어 등 2종에 대한 국제거래 규제를 시도했다가 중국·일본 등의 반대로 실패했다.

수산업자들은 연간 수천만 마리의 상어를 남획, 요리 원료가 되는 지느러미 부위만 떼어낸 뒤 몸통을 바다에 버려왔다. 지난 2000년부터 대서양과 멕시코만에서는 부분 채취가 금지됐지만 법망에서 제외됐던 태평양에서는 상어 지느러미 거래가 성행되던 터다. 하와이의 경우, 올해 상어 지느러미의 거래 및 판매를 금지시켰다.

법안을 제출했던 존 케리 민주당 상원의원은 “해양동물에 대한 중대한 위협을 저지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지느러미만 떼고 버려 천천히 죽게 하는 잔인한 행위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어 전체 개체 수가 빠르게 감소하는 것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환경보호단체들은 전 세계적으로 연간 7300만 마리의 상어를 잡고 있으며 일부 종들은 개체 수가 무려 90%나 감소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중국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북미 등 전 세계적으로 샥스핀의 인기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더욱이 화장품, 의약품 원료로도 각광을 받는 탓에 상어 산업 규모는 수십억 달러에 달하고 있다. 미국은 상어 지느러미의 최대 수출국, 중국은 최대 소비국이다.


이영실 서울시의원, 중랑캠핑숲, 재구조화로 새 단장 추진…아이와 가족 위한 공간으로 거듭나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이영실 의원(더불어민주당, 중랑1)은 지난 24일 북부공원여가센터와 함께 중랑 캠핑숲 재구조화 용역 착수와 관련한 간담회를 개최, 지역 주민들의 여가 공간 개선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북부공원여가센터 박철수 센터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해 현장 전문가의 시각에서 다양한 개선 방안을 함께 검토했다. ​주요 개선 사항으로는 ▲부족한 주차시설 대폭 확충 ▲아이들을 위한 안전한 놀이공간 신설 ▲그늘막 및 휴식공간 확대 ▲중랑숲을 상징하는 포토존 조성 등이 포함되었다. ​이 의원은 “중랑 캠핑숲은 우리 구민들의 소중한 여가 공간이지만, 그동안 시설 부족으로 아쉬움이 많았다”라며 “이번 재구조화 용역을 통해 주차 문제 해결은 물론, 아이들이 마음껏 뛰놀고 어르신들이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 그리고 중랑 캠핑숲을 상징하는 멋진 포토존까지 조성하여 구민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명품 공원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 의원은 “북부공원여가센터와 함께 간담회에서 논의된 소중한 의견들이 용역에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더 멋진 중랑 캠핑숲을 만들기 위해 앞으로도 구민 여러분들의 지속적인
thumbnail - 이영실 서울시의원, 중랑캠핑숲, 재구조화로 새 단장 추진…아이와 가족 위한 공간으로 거듭나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0-12-23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