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이건희 기증관’ 이후/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이건희 기증관’ 이후/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21-11-11 19:54
수정 2021-11-12 04: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가 ‘이건희 기증관’을 서울 종로구 송현동에 건립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전체 송현동 부지 3만 7141㎡ 가운데 9787㎡에 연면적 3만㎡ 규모로 미술관을 짓겠다는 것이다. 경복궁과 삼청동길을 사이에 둔 국립현대미술관 바로 뒤편이니 문화공간으로 더할 나위 없는 입지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 미술과 서양 미술을 망라한 기증품 전체를 이곳에 모아 전시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발상지에서는 모두 ‘뮤지엄’이라 부르는 시설을 구태여 박물관과 미술관이라 구분하는 일종의 일제 잔재에서 벗어나는 선구적 역할도 하게 됐다. ‘이건희 기증관’이라는 이름도 미래지향적 성격을 담아 다시 지을 것이라고 한다.

이건희 컬렉션의 화려한 면면은 이미 공개됐거나 지금도 공개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이건희 컬렉션 특별전: 한국미술 명작’을 해를 넘겨 펼친다. 기증받은 국내 작품 1369점과 국외 작품 119점을 합쳐 1488점의 근현대 미술품 가운데 58점을 공개하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도 ‘이건희 컬렉션 특별전: 위대한 문화유산을 함께 누리다’를 지난 9월까지 열었다. ‘인왕제색도’를 포함한 국보 12건, 고려 불화 ‘천수관음보살도’를 비롯한 보물 16건 등 45건 77점이 출품됐다. 두 특별전 모두 ‘사회적 거리두기’의 여파로 예약 경쟁이 매우 치열했다.

새로운 미술관에서는 넓은 공간에서 국립현대미술관과 국립중앙박물관의 특별전 출품작을 합친 것보다 훨씬 다양한 컬렉션을 만날 수 있으니 기대가 커진다. 국내에서 모네, 고갱, 피카소, 미로, 달리, 샤갈의 작품을 보는 것도 새로운 경험일 것이다. 이렇듯 한국 근현대 미술의 양상과 20세기 전반 서양 미술의 대표적 흐름을 파악하는 데 아무런 장애가 없을 만큼 이건희 컬렉션은 다양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문제는 10년, 20년, 30년 뒤에도 소장품이 ‘지금 이대로’라면 ‘미래지향적 미술관’이라 부르기는 어려워질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현대 미술의 양상은 빠르게 변화하고, 미술 애호가조차 그 흐름을 따라잡기가 쉽지 않다는 것은 ‘이건희 기증관’과 이웃할 국립현대미술관에 가면 실감할 수 있다. 새 미술관이 한국 미술은 물론 세계 미술의 변화를 상징하는 작품을 많지 않은 숫자라도 축적해야 하는 것은 필수다.

그런 점에서 선대 미술품 기증이라는 용단을 내린 삼성가(家)의 할 일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생각을 갖게 된다. 영원히 ‘이건희 기증관’으로 기억될 미술관이 시간이 흘러도 낡은 미술관이 되지 않도록 높은 안목으로 새로운 컬렉션을 보충하는 역할을 맡아 주면 어떨까 싶다. 대를 잇는 ‘노블레스 오블리주’로 찬사를 받을 것이다.
2021-11-1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