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라면 섭취 총량제/박록삼 논설위원

[길섶에서] 라면 섭취 총량제/박록삼 논설위원

박록삼 기자
입력 2023-01-08 21:48
수정 2023-01-08 23: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길섶에서
길섶에서
어머니는 엄격했다. 라면은 몸에 나쁘다는 믿음을 평생에 걸쳐 실천했다. 덕분에 집에서 라면 먹는 건 1년에 서너 번 연례행사에 가까웠다. 친구집에 놀러가 어쩌다 라면 끓여 먹은 날이면 그 짭짤매콤한 맛의 황홀한 여운 또한 오래갔다. 초등학교 졸업할 즈음 나왔던 컵라면은 신기함 그 자체였다. 냄비도, 가스불도 없이 먹을 수 있는 라면이라니. 하지만 역시 ‘라면’이었다. 집에서는 먹을 수 없는 선망의 음식이었다.

중학교에선 일찌감치 도시락 까먹은 녀석들이 플라스틱 휴대용 물통에 봉지라면 부숴 넣은 뒤 뜨거운 물 부어 컵라면처럼 만들어 먹곤 했다. 곁에서 한 젓가락씩 얻어먹는 맛은 기가 막혔다. 훗날 군대에서 ‘뽀글이’를 접했지만 무엇이 먼저인지는 지금도 잘 모른다.

요즘에는 일요일이면 거의 라면을 끓여 먹는다. 일주일에 두세 번씩 먹을 때도 있다. 아내가 “어렸을 때 못 먹었다더니 몰아서 먹는 거냐”고 핀잔한다. 평생 먹는 라면의 총량이 정해진 것 아닌가 싶다.

2023-01-09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