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손수건/이동구 수석논설위원

[길섶에서] 손수건/이동구 수석논설위원

이동구 기자
입력 2021-06-28 20:28
수정 2021-06-29 03: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하철에서 마주친 노신사의 손수건이 관심을 끌었다. 양복 한쪽 윗주머니에 꽂힌 형형색색의 손수건 자락이 어설픈 듯 화려하다. 가슴팍에 꽂았던 코흘리개들이 떠오르는가 하면, 온갖 변화무쌍한 쇼를 펼쳤던 마술사의 손수건도 떠올랐다. 땀 많은 체질이라 사시사철 반드시 지니고 다녀야 할 필수품인 손수건이 흐려진 옛 기억들을 불러 모았다.

문학 작품이나 노래 가사 등에서 손수건은 연인 간 이별의 상징물이 되곤 한다. 손수건을 한자로 번역하면 절연의 뜻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주요섭의 소설 ‘사랑손님과 어머니’에서 어머니는 딸 옥희를 통해 사랑방 손님에게 하얀 손수건을 건네며 받아들일 수 없는 사랑의 감정을 전한다. 그리스의 세계적인 가수 나나 무스쿠리의 원곡을 번안한 트윈폴리오의 ‘하얀 손수건’도 연인 간의 애절한 이별을 노래한 것으로 지금까지 대중들의 사랑을 받는다.

유치환의 대표작 ‘깃발’에서 ‘저 푸른 해원을 향하여 흔드는 영원한 노스탤지어의 손수건’이란 표현은 또 어떤 의미일까. 시인의 그리운 마음이 느껴진다. 잔칫집에서 떡이며 한과 등을 꽁꽁 싸매었던 어머니의 손수건이 불현듯 떠오른다. 기쁨과 따스함이 가득했던 그 광목 손수건을 다시 한번 펼쳐 보고 싶어진다.

2021-06-2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