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아빠의 시간/박록삼 논설위원

[길섶에서] 아빠의 시간/박록삼 논설위원

박록삼 기자
입력 2020-06-24 17:46
수정 2020-06-25 01: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말이 좋아 등교 개학이지 실상은 변형된 온라인 수업이다. 중1 아이는 학년별로 한 주씩, 초4 둘째는 일주일에 딱 하루 학교에 간다. ‘드디어 학교 간다’며 좋아했던 아내의 삶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세 끼 밥 차리랴, 간식 챙기랴, 온라인 등교 체크나 숙제는 잘 제출했는지 확인하랴 눈코 뜰 새 없다. 아이들 역시 친구들과 어울릴 시간은 여전히 없고, 엄마와 씨름하기는 마찬가지다.

퇴근하면 아내는 반쯤 뚜껑이 열린 채로 붉으락푸르락하고 있고, 아이 역시 반쯤 얼이 나가 있어 인사도 하는 둥 마는 둥이기 일쑤다. 아이의 허술한 학습 상황을 일러바치는 아내 앞에서 혼내는 시늉을 하다가 아이방에서 살살 달래주는 게 일찍 귀가하는 날의 일과 중 하나다. 다들 할 말이 많다. 양쪽을 왔다 갔다 하며 아빠로서 하는 말은 결국 하나다. 입장을 바꿔 생각해 봐라, 아이(혹은 엄마)가 얼마나 힘들겠냐, 상대방을 이해한다면 그렇게 하지 않을 거다 등등. 뻔하거나 허망한 말이다.

그래도 아빠가 있는 시간에는 뭔가 집안의 평화가 지켜지고, 이해충돌자 간의 조정이 이뤄진다 생각하니 내 존재의 이유가 있는 듯싶다. 아버지의 반도 못 따라가지만, 위엄 있으면서도 따뜻했던 그 모습이 자꾸 생각나는 시절이다.

2020-06-2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