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밤새 안녕하십니까/문소영 논설실장

[길섶에서] 밤새 안녕하십니까/문소영 논설실장

문소영 기자
입력 2018-09-02 22:30
수정 2018-09-02 22: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안녕’(安寧)은 ‘편안하고 편안함’이다. 즉 ‘안녕하십니까’는 ‘아무 탈 없이 무사하십니까’가 되겠다. 현재에 충실하라 또는 현재를 즐겨라라는 의미의 라틴어 ‘카르페 디엠’(Carpe diem)과는 뉘앙스가 다르지만, ‘지금 현재’에 집중한다는 의미가 있다. 지난 주말 지인이 응급실에 갔다. ‘따님’과 즐겁게 쇼핑을 마치고 가자미구이 정식으로 점심을 먹었는데, 딸이 몇 점 먹지도 못하고 가시가 목에 걸렸다는 것이다. 동네 이비인후과에 찾아갔다가 대학부설 3차 병원 응급실로 옮겨 가시를 제거했으니, 천국과 지옥을 아침·점심으로 다녀온 셈이다. 또 선배의 어머니는 지난 주말 오랜만에 서울 나들이를 나섰는데 백화점 쇼핑 후 에스컬레이터에서 넘어져서 꼬리뼈와 허리뼈에 금이 가 최소 2주 병원 신세를 지게 됐단다. 집을 나설 때만 해도 생각지도 못한 마른하늘에 날벼락이다.

공연히 미래가 걱정되는 날이 있다. 별다른 저축도 없는데 국민연금은 고갈된다고 하고, 다들 잘나가는데 나만 뒤처진 듯하다. 그러나 내일은 물론 한 시간 뒤의 일도 모르는 게 인간사이다. 지옥의 한철 같은 하루를 버티다 보면 그 불안한 미래는 어느새 과거가 돼 지나갔다. 개미보다 베짱이의 자세가 필요한 시절일지도 모르겠다.

symun@seoul.co.kr
2018-09-0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