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괴강(槐江) 횡재/서동철 논설위원

[길섶에서] 괴강(槐江) 횡재/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6-02-15 18:14
수정 2016-02-15 18: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충청북도 괴산의 땅 이름을 이루는 괴(槐)는 느티나무를 가리킨다. 풍성하게 가지를 뻗어 넓은 그늘을 만드는 으뜸 나무다. 이 고장의 복판을 흘러가는 물길이 괴강(槐江)이다. 괴탄(槐灘)이라고도 하는데, 느티여울이라고 순우리말로도 부를 때 아름다움의 의미는 더욱 살아난다. 속리산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괴산을 거쳐 충주에 이르면 달래강(達川江)이라는 예쁜 이름이 된다. 남한강의 최상류를 이룬다.

괴산은 내륙 깊숙이 자리 잡은 데다 사통팔달 교통 요지도 아니어서 자주 찾지는 못했다. 얼마 전 중부내륙고속도로를 타고 남쪽으로 가는 길이었다. 점심으로 무엇을 먹을까 궁리하다 괴강의 매운탕 맛을 보지 못하고 지나쳤던 기억이 났다. 나들목에서 매운탕촌(村)까지는 30분 남짓이나 걸렸다.

유명하다는 집은 손님이 너무 많아 옆집으로 가야 했지만, 결과적으로 잘된 일이었다. 인심 좋게 넣은 동자개며 메기가 괴강산(産)은 아닐 것이다. 그럼에도 일행은 감탄을 아낄 수 없었다. 프랑스의 유명한 미슐랭 음식점 가이드의 별 두 개는 ‘자동차를 돌려 가볼 만한 가치가 있는 음식점’이라는데, 나에게는 이 집이 바로 그런 집이었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6-02-16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