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가경 작가
팽팽한 긴장감 속에 맞닥트린 고백 앞에서 나는 주인공처럼 설렘과 불안과 공포를 동시에 느꼈다. 총알이 목전까지 날아오는 것 같은 세계에서 그 한 줄은 들꽃이 돼 꽂혔다. 파국을 초래할 위험한 문장, 그러면서도 파국을 구할 최후의 문장 아래 진하게 줄을 그었다. 책 읽기를 마친 뒤 독서광인 친구에게 말하니 그런 대목이 있었느냐고 묻는다. 전체적인 맥락에서 파묻히는 부분일 거라고 정리를 해 버린다. 그 문장은 나에게는 절실하나 그녀에게는 빗나가 버린 문장이 되고 말았다.
고등학교 시절 두 살 위 언니가 읽는 책을 종종 훔쳐 읽었다. 언니는 그때 운동권 학생이었고 나는 밖으로 도는 학생이었다. 이유도 없이 언니를 어려워했던 나는 나름의 처세를 익히고 있었다. 주로 야밤에 몰래 책장을 넘겼는데, 읽다 보면 사람들이 잘 긋지 않는 이상한 문장에 밑줄이 그어져 있었다. 그동안의 밑진 감정을 쏟아 내듯 나와 시선이 갈린 그 붉은 줄 위의 문장을 향해 한껏 비웃음을 날리곤 했다. 언니에게는 절실했을 그 문장을 빗나간 문장으로 치부해 버렸다.
거슬러 올라가면 언니는 6년 내내 손이 안 가는 단발머리를 하고 다녔다. 무언가를 열심히 배우고 익히며 무슨 일이든 성실히 해냈다. 반면 나는 아이들과 어울려 유행가를 부르며 온갖 어른 행세를 하고 다녔다. 나의 그런 기질이 못 미더웠는지 결혼 전까지도 언니의 부단한 간섭을 받았다. 그럴 때마다 복수하듯 붉은 줄 위에서 느꼈던 은근한 쾌감을 떠올리곤 했다. 그때 난 피해 의식 속에서 키운 그 쾌감 탓에 언니가 다른 세계를 보고 있다는 것을 놓치고 말았다. 세월이 흘러 운동권 학생으로, 생활인으로 열심히 살던 언니는 수행자가 됐고 나는 뒤늦은 나이에 소설가가 됐다. 마음을 터놓을 기회도 없이 ‘언니’ 대신 ‘스님’으로 호칭을 바꾸게 됐다. 살갑게 지내지는 않았어도 언니가 사라진 것 같은 허전함이 한 번씩 찾아왔다.
몇 년 전 스님이 수행을 하다가 편찮으셔서 집에 두세 달 와 계셨다. 내색은 하지 않았지만 가슴이 찢어지게 아팠다. 그런 감정을 느낀 것은 처음이었다. 첫 소설집을 내게 돼 슬쩍 방에 넣어 드렸다. 건강을 회복하고 수행처로 가시기 전 스님이 처음으로 고백 아닌 고백을 했다. 너는 참 따뜻한 사람이다. 들꽃 같은 그 말을 오랜 세월 돌고 돌아서 들었다. 소설을 쓰고 있다는 나도 다른 사람의 숨겨진 문장을 이해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서로 품고 있는 문장이 어긋나더라도 그렇게 만나지거나 무화되는 지점이 있었다.
‘1984’를 다시 펼쳤다. 조지 오웰도 묻혀 버리는 그 흔한 문장을 현실에서 누군가 실천해 주기를 간절히 기다리는 것은 아니었을까. 밑줄을 보니 여전히 한 줄이 내 마음을 흔든다. 당신을 사랑합니다.
2021-03-1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