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저녁 운동장/송경동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저녁 운동장/송경동

입력 2016-09-30 18:12
수정 2016-09-30 18: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검정 비닐봉지처럼 아이들이

이리저리 날린다

하루의 마지막 볕을

배급 받으러 나온 노인들도 어슬렁거린다

패딱지를 잃고 울던 아이가

제 엄마에게 질질 끌려간다

신작로에서 정복 차림의 어둠이 저벅저벅

걸어들어온다 침침해진 아이들 눈이

땅 쪽으로 더 기울어진다 그때마다

운동장에 조그만 무덤이 하나씩

새로 돋아난다 껴안아주고 싶지만

내 안엔 더 큰 어둠이 웅크리고 산다

밤하늘에 흰 핀을 꽂고

문상 나온 별들

슬픈 일을 겪은 이의 눈에는 세상 모든 것이 슬퍼 보이기 마련입니다. 시를 쓸 때 시인도 아마 그러했을 것입니다. 그런 마음이었기에 아이들이 ‘이리저리 날리’고 노인들이 ‘어슬렁거’리는 모습이 시인의 눈에 담겼을 것입니다. 활기로 가득했을 법한 ‘운동장’에 ‘정복 차림의 어둠’이 걸어들어오면서 시인은 ‘무덤’이라 부를 만한 적막을 맞이하게 됩니다. 시의 줄기를 타고 흐르던 안타까움의 감정은 ‘껴안아주고 싶지만/내 안엔 더 큰 어둠이 웅크리고 산다’라는 진술에 이르러 극대화됩니다. 내가 가진 어둠이 커서 상대의 어둠을 밝혀 주지 못하는 상황인 것입니다. 저녁이 밤으로 넘어가면서 시인의 슬픔을 위로하듯 그리고 지상의 아픔들을 토닥이듯 하늘에 별이 뜹니다. 물론 그리 환하지도 않은 작은 별빛으로 ‘저녁 운동장’의 어둠을 밝힐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그 별빛은 슬퍼하고 있는 이의 눈으로 들어가 빛나기에는 충분한 것입니다. 예고 없이 슬픈 일이 생기는 우리의 삶. 슬픔에 빠진 상대를 만났을 때 그를 슬픔에서 빠져나오게 직접 돕는 일은 어려운 일입니다. 하지만 그와 함께 어떤 일을 슬퍼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은 일일 것입니다.

박준 시인
2016-10-01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