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 이 세상에 새로운 것/김도은 IT 종사자

[2030 세대] 이 세상에 새로운 것/김도은 IT 종사자

입력 2022-05-30 20:14
수정 2022-05-31 01: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도은 IT 종사자
김도은 IT 종사자
잘 보관해 오래도록 두루 쓰이는 옛것들도 좋지만, 그래도 역시 ‘새것’만 한 것이 없다. 새로움은 남의 손을 타지 않았기 때문일까, 온전히 내 것이라는 느낌도 들게 해 준다. 동시에 구태의연함을 버리고 또 다른 기회를 제공하는 설렘이 되기도 하다. 정보기술(IT) 회사에서 근무를 하다 보면 “이게 요새 새로 나왔다던데” 하며, 내 의견을 구하는 질문을 받곤 한다. 아무래도 IT 산업이라는 게 새로운 무언가를 가장 많이, 그리고 빠르게 사람들의 피부에 와닿는 방식으로 만들어 내는 업계이다 보니 그 가치를 판단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새로운 것은 만드는 것도 어렵지만 그 가치를 매기는 것도 어렵다. 그럴 때마다 나는 연세가 지긋하신 어떤 노인께서 나에게 토로하셨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이용 후기를 떠올리곤 한다.

그 메신저는 당시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과 달리 채팅 메시지에 읽음 표시가 나타나지 않아 사용자들의 불만이 많았다. 그분 역시 그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것을 매우 불편해하시며 “그 옛날 우체국에서 편지를 보낼 때에도 ‘등기’로 보내면 이 사람이 읽었는지 안 읽었는지를 내가 알 수 있는데, 스마트폰에서 이것조차 안 되는 것이 이해가 되질 않는다”고 말씀하셨다. 메신저의 읽음 기능을 우체국의 ‘등기’에 빗댄 이 말씀으로 인해 새로운 것에 대한 나의 근본적인 시각을 바꾸게 되었다.

우리 세상에 ‘새로운 것’이라며 등장하는 많은 것들을 살펴보면 정말 새로운 것이 창조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경계를 허문 것’이라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할 것이다. 앞서 말했던 “등기에도 있는 읽음 기능”은 우편과 온라인 메신저의 경계를 허물어 우편 체계를 온라인 메신저에 적용한 것이고, 애플리케이션을 쓰던 그 스마트폰은 휴대폰과 컴퓨터의 경계를 허문 기계장치인 것이다.

명언 모음집 등에서 쉽게 접하는 성경의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가 이토록 핵심을 꿰뚫는 말인지를 이제는 이해한다. 자연 속에서 먹을 것을 얻고, 사람들과 교류하며, 더 나은 방법으로 발전하고자 노력하는 우리 인류의 삶은 몇천 년 전과 크게 다르지 않다. 때문에 우리의 삶의 양식은 변화하고 기술은 발전하더라도 인간에게 필요한 새로운 욕구는 좀처럼 새로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새로운 것들은 그 본질이 갖고 있는 기대감에 과대평가돼 우리를 현혹한다. 빠르게 서쪽으로 떠나 금광을 선점해야 한다는 서부 개척시대의 시대적 잠언이 지금도 유효한 것만 같다. 그럴 때마다 나는 이러한 것들이 허문 경계를 따져 본다. 새롭기는커녕 ‘등기’만큼도 못한 것투성이다. 아직 산정되지 않은 새로운 가치를 좇기보다는 그것이 허문 경계의 가치를 매겨 보는 것, 새로운 게 없는 하늘 아래 살아갈 수 있는 지혜가 될 것이다.
2022-05-3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