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談餘談] 기자에게 ‘비트’란 /윤창수 문화부 기자

[女談餘談] 기자에게 ‘비트’란 /윤창수 문화부 기자

입력 2010-07-31 00:00
수정 2010-07-3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말 만들어 내기 좋아하는 기자들 사이의 요즘 신조어 가운데 ‘조매메’(조선일보·매일경제·메트로)란 것이 있다. 보수적인 성향의 언론을 싸잡아 조중동(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이란 말을 만든 것은 언론 자신이었다. ‘조매메’는 매체의 이념과 상관없이 언론의 영향력, 사원들에게 주는 연봉, 스트레스가 얼마나 적은가 등의 기준으로 기자들끼리 재미삼아 매긴 순위다. 이념은 ‘그따위’가 된 지 오래다.

이미지 확대
윤창수 경제부 기자
윤창수 경제부 기자
요즘 직장인들의 최우선 가치는 연봉이다. 교사인 친구는 다른 직장인과 비교하면 ‘상대적 박탈감’에 시달린다고 하소연이다. 기자들은 상대적 박탈감에다 생존에 대한 불안감까지 겪고 있다. 언론사라도 적자가 누적되면 별 수 없이 문을 닫는 미국의 기자들은 어떨까. 지난해 한국 언론 최초로 샌프란시스코 트위터 본사와 미국의 파워블로거들을 인터뷰했을 때 그들이 공통으로 한 말은 “신문이란 매체는 사라질지 몰라도 저널리즘과 기자는 영원할 것”이란 거였다.

종이 신문을 아예 없애고 인터넷으로만 뉴스를 보도하는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의 국장은 기자에게 ‘비트’가 뭐냐고 물었다. 그게 뭐냐고 반문했더니 주로 취재하는 전공 분야란다. 11년차 기자지만 그런 건 없고 ‘제너럴리스트’나 ‘올 라운드 플레이어’에 가깝다고 콩글리시로 답했더니 자기네 언론사의 모든 기자들은 비트가 있다며 나도 얼른 찾으라고 말했다.

일본 사람들은 ‘간바레~!’란 말을, 한국 사람들은 ‘파이팅~!’이란 말을 자주 한다. 그런 말을 들을 때면 이불 속에 파묻혀 있다가 벌떡 일어나야 할 느낌이 든다. 인생은 항상 굴러가는 수레바퀴와 같고 언제나 그 바퀴를 땀 흘리며 굴려야 한다는 자각이 들 때면 새삼스레 ‘밥벌이의 지겨움’이 다가온다.

10년 넘게 조직원으로 살다 보면 신의 직장이니 꿈의 직장이니 하는 말은 허울뿐이란 걸 깨닫게 된다. 자본주의 속에서 개인이란 조직의 구성원일 뿐 회사가 개인의 꿈을 알아주진 않는다. 기자들도 비트 따위란 없다. 뭐든 쓰라면 쓰는 법. 밥벌이의 지겨움을 설파한 소설가 김훈은 대책이 없다고 했다. 대책이 없으니 오늘도 또 꾸역꾸역 노동을 한다.

geo@seoul.co.kr
2010-07-31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