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 ‘청약 광풍’

삼성SDS ‘청약 광풍’

입력 2014-11-07 00:00
수정 2014-11-07 03: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공모주 경쟁률 134대1… 청약자금 15조 5520억

삼성SDS 공모주 청약에 5~6일 이틀 동안 15조 5520억원이 몰렸다. 경쟁률은 평균 134대1이다.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돈들이 상장 차익을 노리고 대거 몰려든 것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삼성 일가는 막대한 상장 차익을 얻게 된다.

삼성SDS 장외가는 6일 37만 500원이다. 지난 8월 25일 장외시장인 K-OTC에 상장된 이후 최고가다. 공모가가 19만원이니 상장되면 최소한 18만원가량의 차익을 가능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삼성SDS는 14일 상장된다.

공모가는 지난달 29~30일 기관투자가 대상 수요예측을 거쳐 확정됐다. 삼성전기의 지분(609만 9604주)이 이번 공모 대상인데 이 중 60%(365만 9762주)가 기관투자가에게 일반 공모로 배정됐다. 일반 투자자 물량은 전체 공모주의 20%(121만 9921주)다.

일반 투자자의 청약 증거금 규모는 삼성생명(19조 8444억원)에 이어 2위다. 비슷한 규모의 공모에서 청약경쟁률이 100대1을 넘긴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한국투자증권에 1인당 최고 청약한도인 6만주(증거금 57억원)를 청약한 투자자는 469주를 배정받을 수 있다. 배정 주식수는 청약 주식수를 해당 증권사의 청약 경쟁률로 나눠 계산한다. 1000주를 신청하고 9500만원을 낸 사람은 7주를 받게 된다. 개인 한도를 꽉 채워 청약을 신청한 개인투자자도 제법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식을 배정받지 못한 증거금은 10일 환불된다. 돈이 5일이나 묶이지만 그래도 공모가에 버금가는 수익을 거둘 수 있어 매력적인 투자 대상이 된 것이다.

삼성SDS의 최대주주는 삼성전자(22.58%)다. 개인 최대주주는 이재용 부회장으로 11.25%(870만 4312주)를 갖고 있다. 다음으로 이학수 전 삼성그룹 부회장 3.97%(307만 4843주),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과 이서현 삼성에버랜드 사장이 각각 3.90%(301만8859주)다. 김인주 삼성선물 사장은 1.71%(132만 2189주)이며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은 0.01%(9701주)에 불과하다.

공모가 19만원으로 계산해도 이재용 부회장의 지분 가치는 1조 6538억원이다. 장외시장가(37만원)를 고려하면 3조원이 넘는다. 이학수 전 부회장은 각각 5842억원, 1조 1376억원이다.

이재용 부회장과 이학수 전 부회장이 삼성SDS 지분을 가진 과정에서 부당 이득 논란이 나오고 있다. 1999년 2월 삼성SDS는 230억원의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저가에 발행해 이재용 부회장 남매와 이학수 전 부회장, 김인주 사장 등에게 제3자 배정했다. BW 헐값 발행 의혹은 2009년 삼성 특검을 통해 불법행위로 확정됐다. 이건희 회장은 물론 BW 발행 당시 삼성 SDS 이사였던 이학수 전 부회장과 김인주 사장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특경가법)상 배임 등으로 유죄판결을 받았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4-11-07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