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예측 어렵죠, 시점을 분산하세요[최영남 PB의 생활 속 재테크]

시장 예측 어렵죠, 시점을 분산하세요[최영남 PB의 생활 속 재테크]

입력 2022-12-07 17:28
수정 2022-12-08 01: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만약 우리가 시장의 정확한 바닥을 알 수 있다면, 자산을 많이 증가시킬 수 있는 그 짧은 순간을 정확히 맞힐 수 있다면 목돈을 한 번에 투자해 엄청난 성과를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과거 시장의 사이클과 특정 기업들의 차트를 보며 상승과 하락 시점, 원인 등을 알고 있을 땐 시장이 무척 쉬워 보일 수 있지만 실제 투자를 하며 접하게 되는 시장 상황은 절대 만만치 않습니다.

만약 마켓 타이밍과 시장의 변동성을 예측하며 시장에 뛰어드는 것이 어렵다면 자산을 지키고 기회를 포착하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바로 시장에 대한 꾸준한 관심을 두고 서로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며 시간을 분산하는 것이 답이 아닐까 합니다. 시장의 흐름과 관계없이 시점을 분산한다면 투자 자산의 가격은 고가와 저가의 평균값에 수렴할 것입니다. 물론 정기적인 자산 점검과 리밸런싱(정기변경)은 필수 조건입니다. 또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군과 시장에 분산함으로써 변동성을 줄인다면 요즘과 같이 예측하기 어려운 시장에서도 모든 자산의 손실이라는 최악의 상황은 피할 수 있을 것입니다. 즉 포트폴리오 관점으로 자산을 바라보며 시간을 내 편으로 만드는 것, 그리고 시장의 관심사를 꾸준히 살피며 자산 비율을 조절하는 것이 어려운 시기를 이겨 내는 현명한 투자법입니다.

올 한 해를 돌이켜 생각하면 ‘현금만 가지고 있을걸’ 또는 ‘지키는 관리만 했더라면…’과 같은 상상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시점 시점마다 향후 시장이 어떻게 될 것 같다고 생각하기가 쉽지 않았던 한 해였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소위 저점 투자 또는 소위 ‘몰빵 매수’(1개 종목만 매수)를 통한 최대 수익 추구 등을 했다면 어느 부분에선가 큰 탈이 났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입니다. 결국 시장에 대한 꾸준한 관심을 가지며 포트폴리오 자산 전략으로 자산을 구성하고 상황에 따라 배분 비율을 조절하면서 관리했다면 위험 리스크를 최소화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물론 자산 배분을 통해서는 단기간에 빨리 수익을 얻기도, 바라는 바를 빠르게 이루기도 어렵습니다. 그러나 내가 잃으면 안 되는 돈일 경우 시장의 변동성이나 갑작스럽게 닥칠 위기 상황에 휘둘리지 않기 위한 전제조건은 자산 배분을 통한 관리입니다. 만약 그런 관리가 어렵다면 자산 배분이 잘돼 있는 금융 상품을 고르거나 전문가의 조언을 통한 포트폴리오 분산 등 다양한 방식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한PWM분당센터 PB팀장

2022-12-08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